|
●한국사, 4개 문항 변별력 있게 출제
과목별 출제 경향을 살펴보면 역대 국가직 7급 공무원 한국사 시험 가운데 난도가 특히 높았던 때는 2008년과 2009년이다. 당시 한국사 시험에서 40점 미만을 받아 과락을 면치 못한 수험생이 88%에 이를 정도였다. 국가직 7급 필기시험은 전체 시험과목 중 어느 한 과목이라도 40점 미만을 받으면 총점이 아무리 높아도 불합격 처리된다. 반면 2010년에는 9급 공무원 한국사 시험보다 쉽게 출제되기도 했다. 신영식 강사는 “한국사 시험은 난이도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고득점을 받기 위해서는 결국 넓은 범위를 자세하게 공부하는 수밖에 없다”며 “역대 기출 문제를 분석해 보면 총 20문항 가운데 16문항은 비교적 평이한 수준이지만 나머지 4개 문항이 변별력 있게 출제된다”고 말했다. 지난해에는 ‘니탕개의 난’, ‘장충단’ 등 수험생에게 다소 생소한 주제와 내용들이 출제됐다.
한국사 시험에서 줄글로 제시되는 문제의 맥락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된 요약서나 필기 노트보다는 기본서 위주로 학습해야 한다. 시험이 다가올수록 요약 정리보다는 그동안 풀었던 문제 가운데 틀린 문제를 위주로 공부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신 강사는 조언했다. 틀린 문제를 중심으로 약점을 보완하고, 생소한 지문이나 내용을 정리하면서 마무리해야 한다.
●영어, 수동태·분사 문제 유의해야
국가직 7급 시험 영어 과목은 난도가 높은 편에 속한다. 수험생이 추상적이고 어렵다고 체감할 만한 독해 문제가 주로 출제되는데, 지문 자체도 길어 짧은 시간 안에 풀려면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차분히 시간을 갖고 풀면 정답의 근거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지문도 제한된 시간에서는 체감 난도가 올라가기 마련이다. 이동기 강사는 “역대 기출 문제를 꼼꼼히 분석해 문법 포인트, 어휘, 표현 등을 반복 암기해야 하고, 또 긴 지문을 읽고 정답의 근거를 찾아가는 과정 자체에 익숙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근 국가직 7급 영어 시험에는 수동태, 분사 문제가 자주 등장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지문이 길고 추상적인 내용의 지문이 자주 출제되는 추세인 만큼 단순한 해석만으로 정확한 답을 골라내기가 어렵다. 수험생은 이에 대비해 문제 유형별 독해법을 학습하고, 문제 풀이를 통해 연습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좋다.
●국어, 한문·고전 고난도로 출제
지문 분석력이 필요한 독해 영역은 제목 고르기, 핵심어 찾기, 생략된 정보 추론하기 등 유형별로 매일 꾸준히 2~3문제씩 풀면서 감을 유지해야 한다. 먼저 기출 문제로 시작해 모의고사 문제까지 꾸준히 풀어 보면서 약한 유형을 확인하고 보완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06-16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