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아동센터는 ‘공부방’이 발전해 2004년부터 지금의 면모를 갖추게 된 것으로, 지난 6월 현재 427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 운영에 대해 서울시가 70%의 비율로 예산을 지원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25개 자치구별로 운영되는 형태는 각각 다르며, 실질적으로 개인 운영의 성격을 띄고 있는 곳이 다수다.
김창원 의원은 “구립 전환을 유도하여 100% 구에서 운영하는 곳도 있지만 대부분이 민간 또는 개인이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지역아동센터가 아동복지법에 따른 아동복지시설임에도 불구하고 공공성을 띄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창원 의원은 “행정의 일관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종사자 처우 또한 열악한 상황”이라며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이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창원 의원은 “시민의 입장에서는 센터별로 운영에 차이 폭이 큰 것이 혼란스러울 수 있다. 서울시가 기본 프로그램을 표준화해서 제공한다던지, 자발적으로 잘 운영되고 있는 센터가 특성 및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장려한다던지, 지역아동센터 활성화를 위해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본 위원도 지역아동센터의 발전을 위해 고민하고 있다. 그러나 센터별 지원 예산만으로는 역부족이라고 생각한다”며 “지역아동센터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출해주기 바란다”고 요구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