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과기원 김희령 교수
“지금까지 개발해 온 국내 기술과 원자력발전소 해체 경험을 가진 해외 선진 기술을 접목(협력)하면 우리 기술로 고리 1호기를 해체할 수 있습니다. 원전을 완전히 해체·복원하는 데 10년 이상이 필요한 만큼 우선순위를 정해 단계별로 기술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김희령(51)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 교수는 14일 서울신문 인터뷰에서 “제염, 해체·절단, 방사성폐기물 처리, 부지 복원 등 원전 해체에 필요한 국내 기술력은 원전 해체 경험을 가진 선진국의 70~80% 정도의 수준”이라며 “고리 1호기 해체는 우리의 기술과 해외 협력을 통한 경험적 기술을 축적한 이후 우리 기술 주도로 진행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김 교수는 국내 원전 해체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려면 ‘원전해체연구소’가 반드시 필요하고 강조했다. 그는 “원전해체연구소는 노후 원전을 안전하게 해체하기 위해 기술을 체계적으로 정립·개발·구축하고, 산업적 실증을 거쳐 고리 1호기와 같은 해체 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곳”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오는 3월 발표될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 입지와 관련해 “방사성폐기물 처리를 위한 모의시설 구축 및 기술 개발 등 원전 해체에 적용할 기술을 다루게 되는 만큼 해체 대상 원전으로부터 가까워야 한다. 또 원전 해체 기술에 필요한 관련 산업 인프라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연구원과 가족들이 거주할 정주 여건과 접근성도 고려할 점으로 꼽았다.
국내 원전 해체 기술의 과제에 대해선 “세계적으로 160여개 원전이 영구 정지된 가운데 19개가 해체됐고, 우리나라 원전도 2029년까지 25개 중 12개가 설계수명을 다하는 만큼 기업이나 산업이 가진 기존 인프라를 원전 해체에 응용·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며 “특히 고리 1호기 해체를 통해 축적할 경험적 기술은 해외시장에서도 큰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9-01-1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