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접지역 뭉쳐 ‘관광벨트’로… 사업협력 앞장 선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수도권 9개 구간 철도 지하화 공약 질주… 지자체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지하차도 물 15㎝ 차면 통제… ‘부처 칸막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청라시티타워’ 내년 착공·2030년 완공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경기도민, 학생 수 감소에 따른 학교 내 유휴공간 활용 93% 찬성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경기연구원, ‘학생, 교사, 지역주민 협의회 구성 활용방안 모색’ 주장

학생 수 감소로 늘어나는 학교 내 유휴공간을 학생과 지역주민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자는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런 욕구를 수용하기 위해 유휴공간에 대한 체계적 실태조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19일 학교 내 유휴시설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 보고서 ‘늘어가는 유휴교실-학생과 주민의 공간으로’를 발표했다. 이는 학령인구 감소와 유휴공간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폐교 및 학교 내 유휴공간에 대한 도민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작성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도 학령인구가 2015년 163만여명에서 2045년 131여명으로 19.3%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최근 들어 이에 따른 유휴시설을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경기도 교육청은 지난해부터 학교 내 유휴시설을 학생과 교사. 지역주민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활용하는 예술공간터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하남시 미사중학교의 ‘미사 아티움’, 의정부시 부용고교 ‘우리누리’가 그 사례다. 문화예술체험활동, 학생 자율동아리 활동. 공연, 지역주민 열린 공간 등 복합문화시설로 활용하고 있다.

도민 1500명을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했다. 그 결과 폐교 및 학교 내 유휴시설에 대한 지역사회 개방에 찬성하는 응답이 93.2%로 매우 높았다. 결정 주체로는 지역주민(49.8%)이 가장 높았다. 유휴시설을 활용하면 66.9%가 이용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하지만 거주 지역 유휴시설에 대해 8.5%만 알고 있다고 답해 정보는 극히 제안적이었다.

김성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폐교재산 활용현황은 도 교육청에서 매월 발표하고 있지만 학교 내 유휴시설은 정기적인 실태조사가 이뤄지지안아 체계적인 조사와 함께 유휴공간 이용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활용방향으로 ‘학생·교사·지역주민 모두가 공간 이용 주체로서 역할 수행’, ‘공간 이용 주체 간 협의체, 대표모임 등을 통한 자치운영’, ‘이용 활성화를 위한 홍보 방안 마련’ 등을 제안했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