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설치 현황을 보면 2018년 기준 57%로 이제 겨우 절반을 넘어섰고 증가율은 매년 2%에 그쳐 전부 설치하는데 앞으로 25년이란 기간이 소요될것으로 보인다.
현재 설치된 대부분의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는 수동식으로 시각장애인이 직접 찾아서 버튼을 눌러야만 음향이 표출되게 되어있다. 이웃나라인 일본만 보더라도 녹색 신호 시 자동으로 음향이 표출되어 수동식 버튼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우리법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시행규칙에도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신호기는 녹색 신호로 바뀔 때 음성 안내를 하여야 하며 녹색 신호가 켜져 있는 동안에는 계속 균일한 신호음을 내야 한다” 고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법에도 규정된 자동식 음향신호기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하기 불편하고 예산이 더 들어갈 수밖에 없는 수동식 음향신호기를 설치한 이유에 대하여 도시교통실 관계자는 “음향신호기에서 나오는 소리로 인해 민원이 많이 발생하여 부득이하게 수동식 음향신호기를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고 답변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