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접지역 뭉쳐 ‘관광벨트’로… 사업협력 앞장 선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수도권 9개 구간 철도 지하화 공약 질주… 지자체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지하차도 물 15㎝ 차면 통제… ‘부처 칸막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청라시티타워’ 내년 착공·2030년 완공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숭례문 현판 등 ‘아픈 문화재’ 치료… 10년간 4458점 원래 소장처로 퇴원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관가 인사이드] 유물에 새 생명 문화재보존과학센터

난중일기·청자 등 국보 보존처리 성공
부석사 조사당 벽화 ‘6년 대수술’ 돌입
유물의 구조·상태 육안 파악 어려워
CT 촬영기 등 노후 장비 개선 절실

지난 6월 18일 경북 영주 부석사. 경내 성보박물관에 보관·전시돼 오던 국보 제46호 부석사 조사당 벽화 6폭이 무진동 특수차량에 실려 사찰 밖으로 나섰다. 고려 우왕 3년(1377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벽화가 외부로 반출된 건 700여년 만에 처음이었다.

국내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사찰 벽화의 행선지는 대전에 위치한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일명 ‘문화재종합병원’이다. 세월의 흐름만큼 벽화의 병은 깊었다. 조사당 안쪽 벽면에 자리했던 벽화는 일제강점기인 1916~1918년 해체·분리돼 목재보호틀에 담긴 채 무량수전과 보장각, 성보박물관으로 거처를 옮겨다녔다. 과거 여러 차례 보존처리가 이뤄졌지만 분리할 때 보강 재료로 사용한 석고 탓에 백화 현상이 심각했고 채색층에 긁힘과 박리·박락 현상, 벽체의 균열도 극심했다.

지난 3월 문화재위원회가 벽화의 종합검진과 대수술을 결정했다. 입원 기간은 2026년까지 6년 정도. 절차는 일반 병원과 비슷하다. 우선 방사선 기술을 활용한 비파괴 구조 분석으로 벽화 구조를 정밀 진단하고 초분광분석 등으로 채색층 제작 기법을 연구한다. 이어 국내외 전문가 논의에서 보존처리 범위와 재처리 기법을 정한 뒤 보존처리와 복원에 들어간다. 보존처리 전 과정에 대한 연구 성과를 기록으로 남기는 일이 마지막이다.

인간의 생로병사와 마찬가지로 유물도 늙고, 병드는가 하면, 사고로 다치기도 한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훼손된 유물의 원형을 보존하고 새 생명을 불어넣는 문화재 보존·복원 전담 국가기관이다. 센터가 문을 연 것은 2009년.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기획운영팀과 무기질보존팀, 유기질보존팀 등 3개 팀으로 구성돼 있다. 무기질보존팀은 금속·도자기·석조·벽화 유물을, 유기질보존팀은 지류·직물·목재·비파괴 진단 업무를 담당한다. 학예연구관과 연구사, 연구원 등 36명이 소속돼 있다.

이곳에서 보존처리를 마치고 원래 소장처로 돌아간 유물은 지난해까지 총 4458점이다. 숭례문현판, 보물 제326호 이충무공유물, 국보 제76호 난중일기, 국보 제326호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등이 대표적이다. 고려청자의 기원으로 평가받는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는 1년 6개월간 보존처리를 받고 2018년 소장처인 이화여대박물관에 인계됐다. 이 유물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현재 전시 중인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에서 만날 수 있다.

장성윤 무기질보존팀 학예연구관은 “문화재 보존·복원에서 가장 중요한 고민은 원형과 재료”라면서 “전통재료가 우선 고려돼야 하지만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현대의 재료를 쓰는 것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나중에 추가 보존처리를 위해 제거가 가능한 가역성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유물의 구조와 상태를 파악하려면 과학 장비의 활용이 필수다. 적외선·자외선 조사, 엑스선컴퓨터단층촬영(X선 CT) 등이 비파괴 진단 주요 기법으로 사용된다. 특히 X선 CT는 내부 구조를 3차원으로 형상화한 형태를 기록하기 때문에 원형 유지가 중요한 문화재 보존·관리에서 독보적인 역할을 한다. 센터 설립 때 들여온 장비들이 노후화되면서 정밀한 유물 진단을 위해 시설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7-28 11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