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변전소·환기구 안 된다”… GTX 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한강서 윈드서핑·요트·카누 즐기세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산불 예방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일부 시군 늑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공항 승객 “비행기 이착륙 때 창문 덮개 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킥보드도 법적인 차량… 도로 한쪽 과감히 내줍시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안전한 보행권 확보 위한 제언


공유형 전동킥보드 등 개인 이동장치(PM)는 도로교통법상 차량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자전거 도로나 차도를 이용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안전한 보행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동킥보드를 교통수단으로 인식하고, 보도와 차도로 구분된 현재 도로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사진은 횡단보도를 지나가는 전동킥보드 이용자들.
서울신문 DB

“차도는 차량을 위한 공간이지 자동차만을 위한 공간이 아닙니다. 전동킥보드는 도로교통법상 차량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차도를 다니는 건 당연합니다. 안전한 보행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운전자도, 전동킥보드 이용자도, 시민도 전동킥보드를 교통수단으로 인식하고 서로 양보하고 조화롭게 다닐 수 있는 교통안전 문화에 동참해야 합니다.”

공유형 전동킥보드 등 개인 이동장치(퍼스널 모빌리티·PM)는 도로교통법상 차량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자전거 도로나 차도를 이용해야 하지만 여전히 보도 위를 가로지른다. 전동킥보드 이용자들이 도로에서 자동차와 함께 달리는 걸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또 여전히 전동킥보드를 교통수단이라기보다는 레저를 위해 타는 기구로 인식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서울시는 3일 교통연구기관과 교통전문가, 전동킥보드 업체 등과 지속적으로 간담회를 열며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선 전문가들은 시민들이 전동킥보드 등 PM을 교통수단으로서 인식하는 게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여전히 PM을 ‘재미로 탄다’는 인식이 강하다 보니 보행자와 자동차 운전자에게 PM 이용자는 자신이 쓰는 공간을 침범한 ‘방해꾼’으로 여겨진다. 명묘희 도로교통공단 교통공학연구처장은 “우리나라가 도로 인프라를 구축할 때 자동차 중심의 미국 시스템을 도입하다 보니 아무래도 차도는 자동차만 이용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한 편”이라고 말했다. 명 처장은 “유럽의 경우 도로가 좁은데도 트램을 비롯해 자전거, 자동차 등 다양한 교통수단이 다니는데 자동차들이 알아서 속도를 줄인다”면서 “다양한 교통수단이 차도를 공유하면서 조화롭게 이용하는 문화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도로의 주인은 자동차’라는 인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보도와 차도로 구분된 현재의 도로 시스템을 재편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한상진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안전·방재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PM을 교통수단으로서 규정한 만큼 도로에서 공간을 할당하는 것은 불가피한데 현재 자전거 도로가 충분치 않기 때문에 도로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면서 “시험적으로 도로 한쪽을 과감하게 PM 이용자에게 내어주고 시범 운영 결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홍주희 서울시 보행정책과 교통전문관 역시 “PM 이용자와 시민 모두 안전하려면 PM 이용자와 보행자가 따로 다닐 수 있는 물리적인 공간이 절실하다”면서 “‘PM은 보도 위에서 달리면 안 된다’는 인식이 사람들 사이에서 확산할 수 있도록 보행 안전 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무엇보다 PM 운행 속도를 낮춰야 한다고 강조한다. 전제호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보행자의 평균 속도는 시속 4~5㎞, 자전거는 15㎞ 정도인데 전동킥보드의 경우 기기 최대 속도가 25㎞”라면서 “전동킥보드 주행 속도를 적어도 자전거에 맞춰 15~20㎞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프랑스 리옹의 경우 GPS를 기반으로 전동킥보드가 어린이 보호 구역에 진입하면 속도가 시속 8㎞ 이하로 하향되는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우리나라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PM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안전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전 연구원은 “대여업체마다 개별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내용의 질 부분에 있어서도 차이가 날 가능성이 있어 도로교통공단 등과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등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유형 전동킥보드 서비스 기업인 빔모빌리티코리아의 강희수 사장은 “시민의 안전과 편의성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거리 캠페인과 안전 영상 제작 등 서울시와 각 자치구, 킥보드 서비스 업체가 상호 협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21-02-04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