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기영 중구의회 의장
“많은 중구 구민분들이 아이가 학교 갈 나이가 되면 지역을 떠납니다. 교육 환경이 열악하고 복지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25년 넘게 중구에서 살아온 지역 구민이자 구의장으로서 교육과 복지를 강화해 떠났던 구민들도 다시 돌아오는 중구를 만들고 싶습니다.”길기영 서울 중구의회 의장은 17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구민들과 함께 하나 되는 중구가 되기 위한 조건으로 교육과 복지를 강조했다. 그는 2020년 구의원 시절 은퇴 이후 장년층 구민들의 취업과 재교육을 돕는 ‘인생이모작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길 의장은 “교육을 강화해 젊은층을 끌어들이고 복지 강화를 통해 현재 중구에 거주 중인 장년층의 생활을 탄탄하게 한다면 진정으로 살기 좋은 중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구의회는 지난 7월 9대 의회 출범 이후 적지 않은 진통을 겪었다. 같은 당 국민의힘 소속 구의원 4명이 길 의장의 선출 과정에 이의를 제기하며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내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 11일 법원이 이를 기각하면서 길 의장은 본격적으로 의장 업무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길 의장은 “불미스러운 일로 구민분들께 염려를 안겨 드려 송구스럽다”면서도 “반쪽 의회로서 드렸던 우려와 걱정을 떨쳐 낼 수 있도록 하나 된 의회의 모습을 보여 드리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성인이 된 이후 35년을 중구에서 지낸 길 의장은 사업가의 길을 걸어오다가 우연히 자연보호중앙연맹 사무국장을 맡으면서 지역 활동을 시작하게 됐다. 이후 중구시설공단리공단 본부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중구협의회 자문위원 등을 거쳐 2018년 8대 중구 구의원으로 구정에 첫발을 디뎠다. 길 의장은 “지역사회 활동을 할 때 제도와 정책이 현실과 동떨어진 상황을 겪으며 역할의 한계를 실감했다”면서 “입법 활동을 통해 현장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려고 의원직을 시작했다. 이제는 의장으로서 진정 구민들과 지역을 위한 일을 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길 의장은 “민선 8기 김길성 중구청장이 추진 중인 다산로·세운지구 개발 역시 구민들에게 가장 이득이 되는 방향으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박재홍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