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우수 행정 및 정책사례’ 우수상 수상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진구, 바람과 빗물 지나는 ‘바람길숲과 빗물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강서구 방화동에 모아주택 180세대…서울시 심의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무더위쉼터 200곳… 성동, 폭염 대응 강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눈에서 47종의 시각 채널을 찾다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눈에서 47종의 시각 채널을 찾다
-망막 신경세포 가상 전시관 구축…시각 뇌지도 첫걸음 -
 
김진섭 책임연구원(한국뇌연구원)과 세바스찬 승 교수(미국 프린스턴대· 한국명 승현준)연구팀이 망막에서 눈과 뇌를 연결하는 47종의 ‘시각 채널’을 확인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와한국뇌연구원(원장 김경진)은 밝혔다.
망막 : 안구의 뒤를 감싸고 있는 신경세포 조직으로, ‘보는 뇌’의 첫단계
 
o 연구결과는 국제적인 학술지 셀(Cell, IF 32.40)에한국시간 5월 17일 새벽 3시에 게재되며, 논문명과 저자는 다음 과 같다.
논문명 : Digital museum of retinal ganglion cells with dense anatomy and physiology
저자 정보 : 김진섭(공동 제1저자, 한국뇌연구원), 배준환(공동 제1저자, 프린스턴대), Shang Mu(공동 제1저자, 프린스턴대), Nicholas L. Turner(공동 제1저자, 프린스턴대), 세바스찬 승(교신저자, 프린스턴대)
 
뇌는 약 870억 개의 신경세포(뉴런)로 구성되어 있는데 신경세포에는 여러 유형이 있으며 각 유형마다 모양과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망막 신경세포의 유형과 역할을 알아내는 것은 ‘본다는 것’의 비밀을 풀기 위한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다.
 
o 특히, 망막과 뇌를 연결하는 신경절세포는 마치 TV에 영화채널, 뉴스채널 등 다양한 채널이 있는 것처럼 움직임, 외곽선 등 다른 종류의 시각 정보를 모아서 보내고, 뇌는 각 정보를 재조합하여 우리가 보는 장면을 이해한다.
 
연구팀은 생쥐의 망막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초고해상도 3차원 영상을 분석해 찾아낸 396개의 신경절세포를 구조에 따라 47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o 이 중 6가지는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 목록은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 중 가장 완전한 것이다.
 
연구팀은 온라인 가상 전시관(museum.eyewire.org)을 만든 뒤 이번 연구성과를 공개해 누구나 무료관람이 가능하게 하여 향후 다른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o 전시관에서는 개별 신경세포의 3차원 구조와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도를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진섭 책임연구원은 “이 연구는 시각 뿐 아니라 사고와 인지 등 뇌가 작동하는 원리를 밝혀내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녹내장 등 시각질환의 근본 원인을 찾아내는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녹내장 : 신경절세포가 죽어서 시력을 잃는 병
 
o 한국뇌연구원 연구팀은 향후 3차원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소뇌와 대뇌의 신경세포 연결 지도(뇌지도)를 만들고 뇌의 정보처리 과정과 작동원리를 밝혀내는 연구를 할 계획이다.
 
앞으로 과기정통부는 ‘17.9월 확정한 “바이오경제 2025”에 따라 동 연구와 같은 글로벌 최초를 지향하는 바이오 R&D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o 특히, 인간 뇌에 대한 근본적 이해를 위한 뇌 관련 기초 연구 강화 및 뇌지도 구축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