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만금개발청은 5월 23일(금) 서울 투자전시관에서 전북연구원과 함께 '의료용 헴프* 산업 육성 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헴프(Hemp) : 향정신성 성분(THC,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 함량이 0.3% 미만인 대마 식물로 미용, 의료, 의생명소재, 식품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산업에 활용
ㅇ 이날 세미나는 글로벌 의료용 헴프 산업 동향을 살피고, 새만금을 '헴프 산업 전초기지'로 성장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을 함께 논의하고자 마련되었다.
□ 발제에 나선 전북연구원 하의현 연구위원은 최근 미국, 캐나다, 유럽 등 주요 국가에서 알츠하이머, 뇌전증 등 희귀·난치성 뇌 질환 치료제에 헴프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ㅇ 이들 헴프 선진국은 이미 국가 차원에서 의료용 헴프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하고 헴프 기반 신약 개발과 고순도·고품질 헴프 재배를 위한 연구개발에 집중 투자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ㅇ 더불어 폭발적인 헴프 시장 성장성에 빠르게 주목하고 첨단바이오산업 중심의 의료용 헴프 산업 육성을 위해 특례 활용한 과감한 규제 완화, 고부가가치 품종 개발 및 생산지원, 유통 관리체계 인증제도 도입 등 다각적인 정부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ㅇ 또한, 새만금이 헴프 특구로 지정될 경우 의료용 헴프 재배부터 의약품 제조·유통·판매까지 전주기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전북의 첨단 바이오산업과 연계해 섬유, 식품 등 다양한 산업과의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했다.
□ 새만금개발청은 이번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과 경북 산업용 헴프규제자유특구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새만금의 광활한 부지, 우수한 물류 인프라 등 강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의료용 헴프 클러스터' 조성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 새만금개발청 김민수 사업총괄과장은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의료용 헴프 산업이 새만금 미래 성장을 견인할 새로운 먹거리로 자리잡아 가기를 기대한다."면서,
ㅇ "전북 지역과 함께 의료용 헴프 산업 전주기 생태계 구축과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