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골목형상점가’ 100개소 신규 지정…온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울시, 외국인 관광객 택시 바가지요금 뿌리 뽑는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3년간 5만 129회 ‘현장행정’… 소아청소년 진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폭염에도 노원구는 쉼터·힐링냉장고로 ‘안전 최우선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2017년 SW ICT장비수요예보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2017 공공부문 SW·ICT장비 사업규모 4 757억원
- 공공부문 정보보호 구매수요는 4,095억원 -
- 2017 공공부문 SW·ICT장비정보보호 수요예보(확정) 설명회 개최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 3 20()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2017 공공부문 SWICT장비정보보호 요예보(확정) 설명회 개최하고 2017 공공부문 SWICT장비 정보보호 수요예보 조사*(2017.1~2) 결과를 발표하였다.
 
* SW산업진흥법 19(SW사업의 수요예보), 정보통신 진흥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29(정보통신장비 수요예보),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6(구매수요정보의 제공) 따라 공공부문의 SW·ICT장비·정보보호 구매 수요와 SW·ICT장비·정보보호사업 추진계획을 매년2(11:차년도 예정치, 3:당해년 확정치)조사하여
 
* 공공부문(국가기관, 지자체, 교육기관, 공공기관) 2,152 기관 조사(정보보호 분야는 정보보호산업진흥법에 따라 공공부문에 사립대학·대학원을 추가하여 2,546 기관 조사)
 
조사결과 2017 공공부문(2,152) SW·ICT장비 사업예산은 4 757억원(전년대비 693억원, 1.7%증가)으로 SW 3 1,260억원(전년대비 1,214억원, 4.0%증가), ICT장비는 9,497억원(전년대비 521억원, 5.2%감소)으로 집계되었다.
(단위: 억원, %)
구분
전체(증감률)
SW구축(비중)
SW구매(비중)
ICT장비(비중)
2014
예산
35,503(7.9)
25,711(72.4)
2,493(7.0)
7,299(20.6)

13,529(5.0)
6,571(48.5)
3,444(25.5)
3,514(26.0)
2015
예산
38,125(7.4)
27,196(71.3)
2,477(6.5)
8,452(22.2)

15,909(17.6)
7,152(45.0)
3,530(22.2)
5,227(32.8)
2016
예산
40,064(5.1)
27,241(68.0)
2,805(7.0)
10,018(25.0)

15,224(4.3)
7,708(50.6)
3,564(23.4)
3,952(26.0)
2017
예산
40,757(1.7)
28,455(69.8)
2,805(6.9)
9,497(23.3)

15,289(0.4)
7,800(51.0)
3,456(22.6)
4,033(26.4)
* ICT장비는 네트워크, 컴퓨팅, 방송장비를 구분하여 조사
 
- 기관유형별로는 국가기관은 1 4,876억원(36.5%), 지자체교육기관공공기관은 2 5,881억원(63.5%) 집행할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억원, %)
구분
전체
국가기관
지자체
교육기관
공공기관
예산(비중)
40,757(100)
14,876(36.5)
7,793(19.1)
424(1.1)
17,664(43.3)
(비중)
15,289(100)
1,823(11.9)
7,310(47.8)
272(1.8)
5,884(38.5)
 
SW사업 SW구축 사업예산은 2 8,455억원(91.0%), SW구매 2,805억원(9.0%)으로 집계되었으며
 
- SW구축 사업은 전년대비 1,214억원(4.5%) 증가하였으며, 운영 유지관리 사업이 1 6,745억원(전년대비 1,050억원, 6.7%증가), SW 개발업이 7,647억원(전년대비 277억원, 3.5%감소)으로 나타났다.
(단위: 억원, %)
구분
전체
ISP
SW개발
운영유지
환경구축
콘텐츠
DB구축
2016

예산
(비중)
27,241(100)
461(1.7)
7,924(29.1)
15,695(57.6)
2,281(8.4)
209(0.8)
671(2.4)

(비중)
7,708(100)
164(2.1)
1,598(20.7)
5,357(69.5)
339(4.4)
110(1.4)
140(1.9)
2017

예산
(비중)
28,455(100)
635(2.2)
7,647(26.9)
16,745(58.8)
2,339(8.2)
225(0.9)
864(3.0)

(비중)
7,800(100)
211(2.7)
1,531(19.6)
5,429(69.6)
371(4.8)
114(1.5)
144(1.8)
- SW 사업을 사업금액별로 살펴보면, 소기업 사업영역인 40억원 사업은 1 7,334억원(전년대비 1,624억원, 10.3%증가), 80억원 이상 업이 7,400억원(전년대비 921억원, 11.1%감소)으로 나타났다.
 
(단위: , 억원, %)
구분
2016
2017
사업수
(비중)
사업예산
(비중)
사업당
평균
사업수
(비중)
사업예산
(비중)
사업당
평균
전체
7,708(100)
27,241(100)
3.5
7,800(100)
28,455(100)
3.6
80억원 이상
43(0.6)
8,321(30.5)
193.5
33(0.4)
7,400(26.0)
224.2
40억원 이상
80억원 미만
59(0.7)
3,210(11.8)
54.4
68(0.9)
3,721(13.1)
54.7
40억원 미만
7,606(98.7)
15,710(57.7)
2.1
7,699(98.7)
17,334(60.9)
2.3
20억원 이상
40억원 미만
137(1.8)
3,777(13.9)
27.6
148(1.9)
4,052(14.2)
27.4
20억원 미만
7,469(96.9)
11,933(43.8)
1.6
7,551(96.8)
13,282(46.7)
1.8
 
 
- 또한, SW구매 사업은 전년과 동일하며, 보안SW 638억원(전년대비 108억원, 20.4%증가)으로 증가한 반면 시스템관리SW 209억원(년대비 201억원, 49.0%감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억원, %)
구분
전체
사무용SW
보안SW
운영체계 SW
시스템관리
SW
기타SW
2016

예산(비중)
2,805(100)
994(35.4)
530(18.9)
214( 7.6)
410(14.6)
657(23.5)
(비중)
3,564(100)
1,204(33.8)
1,332(37.4)
186( 5.2)
167( 4.7)
675(18.9)
2017

예산(비중)
2,805(100)
1,053(37.5)
638(22.7)
321(11.4)
209( 7.4)
584(21.0)
(비중)
3,456(100)
1,152(33.3)
1,432(41.4)
139( 4.0)
97( 2.8)
636(18.5)
 
ICT장비 구매 사업예산 9,497억원 컴퓨팅장비 7,217억원(전년대비 214억원, 3.1%증가), 네트워크 장비 1,970억원(전년대비 746억원, 27.5%감소), 방송장비 311억원(전년대비 12억원, 4.0%증가)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억원, %, )
구분
전체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2016
예산(비중)
10,018(100)
7,003(69.9)
2,716(27.1)
299(3.0)
(비중)
3,952(100)
2,541(64.3)
1,150(29.1)
261(6.6)
2017
예산(비중)
9,497(100)
7,217(76.0)
1,970(20.7)
311(3.3)
(비중)
4,033(100)
2,587(64.2)
1,174(29.1)
272(6.7)
한편, 공공부문에 사립대학대학원을 포함한 2,546 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17 공공부문 정보보호 구매수요예산은 4,095억원이며, 기관별로는 공공기관이 50% 이상을 차지(2,097억원, 51.2%)하고 있다.
(단위: 억원, %)
구분
전체
국가기관
지자체
교육기관
공공기관
예산(비중)
4,095(100)
766(18.7)
965(23.6)
267(6.5)
2,097(51.2)
(비중)
3,870(100)
297(7.7)
1,455(37.6)
597(15.4)
1,521(39.3)
 
유형별로는 HW(1,502억원), 정보보호서비스(1,426억원), SW(1,167억원) 순이었으며, 예산의 2/3 상반기에 집행할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억원, %)
구분
전체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HW(비중)
1,502(100)
288(19.2)
627(41.7)
323(21.5)
264(17.6)
SW(비중)
1,167(100)
246(21.0)
436(37.5)
159(13.6)
326(27.9)
서비스(비중)
1,426(100)
906(63.5)
233(16.3)
152(10.7)
135(9.5)
합계(비중)
4,095(100)
1,440(35.1)
1,296(31.7)
634(15.5)
725(17.7)
 
미래창조과학부 곽병진 소프트웨어산업과장은 SW기업들이 수요예보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전에 기술개발과 사업기획을 준비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향후 4 산업혁명 준비 관련하여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신기술 분야를 수요예보 조사 반영하여 활용할 있도록 개선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번에 발표된 조사결과는 2017 공공부문 SW·ICT장비 수요예보(확정) 설명회(3 20(), 한국과학기술회관) SW산업정보종합시스템(www.swit.or.kr), 중소ICT장비정보시스템(kcnb.iitp.kr) 정보보호산업진흥포털(www.kisis.or.kr) 통해 제공된다.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오세훈 “청렴 확산, 서울시 중요 과제”

오스트리아 빈서 청렴 정책 홍보 IACA와 지방정부 첫 업무 협약 한국문화원 주최 ‘서울 인 빈’ 참석

마을버스 안 다니는 곳곳에 성동 ‘성공버스’ 달려갑

왕십리·성수 등 필수 공공시설 연결 셔틀버스 통해 교통 사각지대 보완 호평 속 5월 日 이용객 1800명 돌파 정원오 구청장 “주민 교통복지 실현”

고생한 구청 직원들에게 커피·포상금 쏜 종로

민선 8기 3주년 기념해 ‘사기 진작’ 커피차 이벤트·AI 활용 성과 조명 정문헌 구청장, 현충원 참배 시간도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