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국회 신행정수도특위 주최로 헌정기념관… 7일 국회 신행정수도특위 주최로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이 정부의 3개 후속대안에 대한 설명을 진지하게 듣고 있다. 왼쪽부터 주제발표자인 황희연(충북대)·윤철현(동아대)·이광윤(성균관대)·허재완(중앙대) 교수. 남상인기자 sanginn@seoul.co.kr |
국회 신행정수도특위 김한길 위원장도 이날 열린우리당 확대간부회의에서 “공주·연기지역에 40만∼50만명 규모의 행정·교육·과학·경제 등 복합기능을 갖춘 자족도시를 건설하는 방향으로 2월 말까지 단일안을 마련, 특별법 제정을 매듭짓기로 여야가 의견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연기·공주 50만 자족도시 건설”
이에 따라 외교·통일·국방부 등 외교안보 관련 부처는 청와대와 함께 서울에 잔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충청지역에서는 여전히 신행정수도 건설에 버금가는 부처 이전과 도시 건설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어 국회 특위 논의 과정에서 논란이 계속될 전망이다.
정부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기획단 이춘희 부단장은 기자간담회를 갖고 “정부가 지난해 말 마련한 3개 대안 모두 수도권 인구분산과 자족기능 확보에 다소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어 추가적인 인구 유입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도권 인구분산·자족성 확보 효과
행정중심도시는 외교안보부처를 제외한 15부 4처 3청 등 57개 정부기관을 연기·공주로 이전시키는 방안으로,1만 4104명의 공무원이 내려가게 되며 전체 인구규모는 32만 6000명이 될 것으로 정부는 추산하고 있다. 정부는 여기에 교육과학기능을 보강, 대학과 기업 등을 성공적으로 유치할 경우 인구 규모가 50만명에 육박하는 도시를 건설할 수 있게 돼 수도권 인구 분산과 자족성 확보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교육과학기능 강화와 관련, 정치권과 충청지역에서는 충남대와 충북대를 통합해 연기·공주로 이전하는 방안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정원을 현재의 7000여명 선에서 2만명 선으로 대폭 확대하는 방안 등이 제기되고 있다.
진경호 전광삼기자 jad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