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이번 조치가 느슨해진 공보규정에 대한 준수의무를 강조한 것일 뿐 정부 차원의 기자실 개편 움직임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강용희 국방부 대변인 직무대행은 2일 “앞으로 대변인실이나 본부장의 승인을 얻지 않은 채 기자와 접촉하거나 자료를 공개하는 직원들에게는 규정대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기자들도 국방부·합참 사무실 출입을 자제해달라.”면서 “이를 어길 경우 1차 적발땐 주의환기,2차에는 출입증을 회수하겠다.”고 말했다.
강 대변인은 이번 조치가 “최근 비공개로 돼 있던 고위 인사의 국방부 방문 사실이 일부 매체에 보도되고, 내부문건이 무분별하게 유출돼 보도됨에 따라 정책 혼선과 국민들의 오해를 부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 대변인이 말한 ‘고위 인사’란 지난주 한국을 방문한 미 중앙정부국(CIA)의 마이클 헤이든 국장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헤이든 국장의 방문사실이 언론에 보도된 것과 관련, 미 정보당국으로부터 항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일부 기자들은 “국민의 알 권리를 제한하는 군사정권 시절의 ‘3실(기자실·공보실·화장실)’ 출입 시스템으로 회귀하려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정보 교환’을 매개로 이뤄지고 있는 일부 기자와 당국자간 부적절한 유착을 막기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는 시각도 없지 않다.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