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은 10일 교내 본관에서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기금 모금과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카이스트 졸업생들이 삼성전자 반도체 개발인력의 25%, 국내 대학 이공계 교수의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밝힌 뒤 미국과 달리 기부문화가 덜된 풍토를 지적했다.
서 총장은 취임 후 건물도 짓고 연구시설을 늘리기 위해 7년간 1조원의 기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몇분을 빼놓고 기부하는 문화가 안 돼 있다.”면서 “하지만 돈은 들어올 것 같다. 현금 외에 생각하고 있는 것이 많다.”고 덧붙였다.
이어 “미국은 기부한 사람에게 명예박사 학위를 안주고 이사를 많이 시킨다. 카이스트도 그런 사람이 필요하다.”고 전제한 뒤 “우리 학교 이사회는 ‘안 된다.’고만 얘기하니 (일이) 되겠느냐.”고 반문했다.
서 총장은 또 대학 육성에서 ‘선택과 집중’을 강조했다.“유럽은 모든 대학을 다 똑같이 해준다. 큰 명문대학이 없는 게 이 때문이다. 세계적인 대학은 다 미국에 있다.”
그는 이에 따라 한국정보통신대(ICU)와 통합하는 방안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다.
“합쳐도, 안 합쳐도 그만이지만 나라를 위해서는 합치는 것이 좋다.” 그는 취임 초 ‘5개년 계획’을 발표하면서 학년당 학생수를 700명에서 1000명, 학생당 교수수를 현 10대1에서 5대1로 늘려 세계적인 명문대로 카이스트를 키우겠다고 밝혔었다.
카이스트가 미국 MIT보다 학생수는 70%, 교수수는 40%에 그치고 있다면서 세계 최고의 이공계 명문대로 발돋움하려면 일정한 규모가 돼야 한다고 서 총장은 덧붙였다.
5개년 계획에는 학교병원과 보육시설 등을 건립하는 것도 포함돼 있다.
그는 “한국이 잘되려면 카이스트가 잘돼야 한다.”며 “못하겠다보다 잘되게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도와줘야 한다.”고 당부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07-7-11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