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관계자는 14일 “동대문운동장공원과 디자인센터 조성 등과 연계해 광희고가를 조기에 철거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시는 그동안 광희고가 철거와 관련, 교통량 문제로 장기적인 연구 검토가 필요하다며 조기 철거에 회의적인 입장이었다. 하지만 광희고가가 이미 교통소통 기능을 상당부분 상실한 데다 동대문운동장 일대를 서울시 랜드마크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주변 도시 미관을 해치는 광희고가의 조기 철거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철거를 확정했다.
광희고가가 40년만에 철거되면 공장과 창고 밀집지인 광희교차로 북측지역의 개발이 빨라질 전망이다. 또 동대문 의류·패션산업의 경쟁력도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광희동, 쌍림동, 장충동, 신당동 등 지역 발전에도 가속도가 붙는다. 이들 지역은 그동안 광희고가 때문에 상권 형성은 물론 재개발 추진에도 어려움을 겪어왔다.
정동일 중구청장은 “광희고가의 철거로 시가지 개발과 경제 활성화가 빨라지게 됐다.”면서 “특히 서울도심의 관문인 동대문운동장 주변 환경이 시원스럽게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도심 ‘문화 벨트’도 확대된다. 청계천과 동대문운동장 공원화, 성곽 복원, 장충단공원 등으로 이어지면서 복합문화의 축이 조성된다. 특히 광희고가는 도심지 주요 간선도로에 흉물스럽게 위치한 탓에 도시 경관을 해쳐왔다.
시는 광희고가 철거에 따른 교통흐름 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철거로 인해 자동차의 좌·우회전이 가능해지면 정체를 주변 도로로 분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기태 구의원은 “광희고가 때문에 주민간 왕래도 자유롭지 못하고, 밤마다 자동차 소음 때문에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광희고가는 1967년 10월에 왕복 4차선, 폭 15m, 길이 225m 규모로 건설됐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07-9-15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