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과학기술대는 18일 신입생을 전국 고교 졸업 예정 및 졸업자의 상위 5%안의 성적을 가진 지원자 가운데 뽑겠다고 밝혔다. 이는 카이스트와 포스텍과 비슷한 수준이며 이들 학교와 이공계분야 특성화 대학 트라이앵글(삼각축)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학교측은 지원자가 이 기준에 들지 않으면 모집 정원(1000명)을 채우지 못하고 합격자가 수십∼수백명에 지나지 않더라도 뽑지 않기로 했다. 설립 모델로 삼고 있는 MIT를 비롯해 세계적 수준의 대학으로 출발하기 위해 정원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입학 정원은 이공계열(전기컴퓨터공학부·기계재료공학부·생명공학부·디자인 및 인간공학부·도시환경공학부·에너지공학부) 700명과 경영계열(테크노경영학부) 300명 등이다. 신입생은 첨단융합학문 특성화 전략에 따라 학과 구분 없이 무전공으로 입학하며 적성에 따라 복수전공도 한다.
또 모든 학생에게 등록금 전액의 장학금을 지원하고 기숙사를 제공한다.
학교측은 장학금은 정부 등에서 우수한 이공계 학교에 지원하는 장학금과 울산시 및 지역 기업체 등의 장학기금으로 충당하면 어려움이 없다고 설명했다. 교수진에게도 국내 국립대학 가운데 최고 수준의 보수를 지급한다. 조무제 총장은 이달 말까지 25명 안팎의 교수를 공모하기 위해 최근 UC버클리·스탠퍼드·MIT·하버드·올인공대 등 미국 유명 7개 대학을 방문해 학교 설명회를 가졌다.
조 총장은 “대학 수준은 설립 초기에 입학생 및 교수 수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학생·교수에게 국내 최고의 장학금과 보수를 지급하는 등 처음부터 최고 수준으로 출발하겠다.”면서 “교수 및 학생의 외국인 비율을 20% 안팎으로 유지하고 모든 강좌 수업을 영어로 한다.”고 말했다.
울산 강원식기자 kw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