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한국전력공사와 한국가스공사, 대한주택공사, 한국토지공사 등 11개 대형 공기업과 국민건강보험공단·국민연금관리공단 등 연·기금 및 보험운용기관 5곳, 국립암센터 등 13개 대학병원,KOTRA 등 공모 활성화 대상기관으로 선정된 90곳은 전원 교체 대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 관계자는 “다음 달 말까지 현 공공기관장의 80% 정도를 교체할 방침”이라고 밝히고 “정치적으로 편향돼 있는 기관장이나 개혁이 필요한 기관의 장이 우선적인 교체 대상”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도 “일할 여건이 마련돼야 책임도 물을 수 있다는 점에서 가능한 빠른 시간 안에 공공기관장 인선을 매듭지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현재 기관장 교체가 이뤄진 곳은 한국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장, 한국정보사회진흥원장 등 10군데에 불과하다.
●“고속도·상수도 민영화 안해”
한편 기획재정부는 22일 고속도로와 상수도 민영화 계획 등은 전혀 검토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김규옥 재정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의료보험 민영화와 고속도로·상수도 민영화 등은 전혀 검토한 바 없다.”면서 “‘인터넷 괴담’ 수준의 이야기가 언론에서 보도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현재 민영화 방안 시안을 놓고 해당부처와 논의를 하고 있는 단계”라면서 “최종 시안이 발표되면 공청회 등을 통해 관련 전문가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오는 6월 중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 상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진경호 이두걸기자jad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