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성 ‘노무라입깃 해파리’ 식용 안돼… “화장품·의약품원료 등으로 개발해야”
“해파리떼가 우리 서남해에 지천으로 널려 골머리를 앓는다면서, 왜 한해 100억원어치 넘게 수입하지?”올들어 국내 연안에 해파리떼가 엄청나게 불어 어민들의 생활 터전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있다는 보도(서울신문 8월25일자 25면)와 관련, 이런 해파리들을 잡아 냉채로 쓰면 되지 않느냐고 궁금해 하는 이들이 많다.
국립수산과학원은 26일 서남해에 대량으로 나타나 멸치잡이를 비롯한 어업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노무라입깃해파리’ 등은 국내 음식점 등에서 해파리 냉채 재료로 쓰는 해파리와는 근본적으로 달라 식용으로 부적합하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국내 식용 해파리 재료는 중국과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에서 전량 들여오고 있다.
수산과학원 장수정 연구사는 “식용으로 수입하는 해파리는 근육조직이 발달된 근구해파리류의 로킬레마종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체 100여종의 해파리 중에서도 몸통인 우산이 크고 독성이 있는 자세포가 없으며, 근육 조직이 발달된 근구해파리류 등은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장 연구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극성을 부리는 노무라입깃해파리는 비린내가 나고 맛이 없어 우리 국민들은 거의 먹지 않는다.”면서 “다른 20여종들도 독성이 강하거나 식성에 맞지 않아 화장품이나 의약품 원료로 개발하는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식용 해파리는 탄수화물을 함유하지 않아 웰빙식품으로 일본에서 인기가 매우 높다. 부산세관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달까지 수입 식용 해파리는 3885t, 630만달러어치에 이른다. 수입 가격은 때에 따라 다르며 25㎏ 한 상자에 7만 5000원~9만 5000원 선이다.
2006년에는 8013t, 2007년 8595t, 2008년 8383t으로 해마다 8000t이 넘는 식용 해파리가 들어와 뷔페나 중국집, 한정식, 일반가정 등에서 소비되고 있다. 연간 수입액은 1200만~1500만달러어치에 이른다.
통영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09-8-27 0:0: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