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급 이상 17명… 상층부 얇은편
현 정부 출범 직전 한때 폐지론까지 거론되며 존폐의 위기를 겪었던 통일부는 전체 직원 478명 가운데 17명이 고위공무원단 소속이다. 상층부가 얇은 편이다. 2급 이상 고위공무원단 17명 중에는 대구·경북(TK), 서울, 전남 출신 인맥이 눈에 띈다. TK 출신은 김영탁 남북회담본부 상근회담대표, 최보선 개성공단사업지원단장 등 5명이다.
|
서울 출신은 천해성 대변인등 4명, 전남 출신은 김천식 정책실장 등 4명이다. 제주 1명, 강원 1명, 충청 1명 등이다. 출신지역이 다소 쏠려있는 편이다.
●출신학교 서울대 5명으로 최다
출신학교는 서울대가 17명 가운데 5명으로 가장 많다. 경북대, 중앙대, 전남대 출신은 각 2명씩이다. 고려대, 연세대, 부산대, 성균관대, 한양대, 인하대 출신은 각 1명씩이다. 행정고시 출신 중에는 30회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통일부 업무는 주로 대북 정책·남북 교류 및 경제협력·회담 등으로 나뉜다. 통일부 내 정책 및 회담통으로는 김천식 정책실장과 천해성 대변인, 윤미량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장이 꼽힌다. 김 실장은 사무관 시절부터 정책 업무를 오래 담당했다. 회담 경험도 풍부하다. 주로 정책 분야 회담에 참여했다. 업무능력이 탁월해 후배들이 가장 배우고 싶은 선배 1순위로 거론된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정책 담당관을 지낸 천 대변인도 회담 참여 경력이 많은 편이다. 2006년 업무 능력을 인정받아 행시 동기들보다 파격적으로 승진, 통일부 내 고공단에 최연소로 진입했다. 신뢰감을 주는 신사 스타일로 조직 내 신망이 두터운 편이다.
2002년 남북적십자회담 실무접촉 남측 대표를 맡기도 했던 윤 소장은 통일부 내에서 ‘여성 최초’라는 수식어를 계속 만들어내고 있다. 1987년 통일부 사상 첫 여성 사무관으로 공직 생활을 시작한 그는 지난해 5월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통일부 고공단에 진입했다. 하나원 개소 이후 첫 여성 소장이라는 ‘타이틀’도 얻었다.
김영탁 남북회담본부 상근 회담 대표는 현 정부 출범 이후 주요 회담에 단골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김남식국장은 남북경제협력통
남북 교류 및 경제협력통으로는 김남식 교류협력국장이 꼽힌다. 교류협력국 총괄과 사무관으로 통일부 생활을 시작한 그는 주로 남북 교류협력과 정책, 정보분석 등의 업무를 다뤘다. 김 국장은 지난 2월 금강산 관광재개를 위한 남북 실무회담의 남측 대표로 나서기도 했다.
통일부 고공단 중에는 비(非) 행시 출신들의 약진도 눈에 띈다. 양창석 정세분석국장과 서호 남북회담본부 본부장 대리(부장)가 대표적이다. 1982년 5급 별정직(언어특채)으로 통일부에 몸담은 양 국장은 영어, 독일어에 능통하다. 일본어 등 5개국어를 구사한다. 통일부 내에서 유명한 언어통이다. 대북 정보 수집 능력도 탁월하다.
1985년 이세기 장관 비서관으로 통일부와 인연을 맺은 서 본부장 대리는 인맥이 넓다. 공보과장 출신으로 언론 대응 능력과 감이 탁월하다는 평이다. 각종 회담을 앞두고 언론 앞에 서본 경험이 없는 적지않은 통일부 관료들은 서 본부장 대리를 찾아 조언을 구할 정도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0-04-1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