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관 직원들이 압수한 가짜 비아그라를 살펴보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
정부의 정책홍보가 튀고 있다. ‘봐도 그만, 안 봐도 그만’인 딱딱하고 일방적인 주입식 홍보를 지양하고 소통과 유연함에 무게를 두는 홍보전략으로 바뀌고 있다.
최근 들어 관세청 등에서는 기관 홍보를 위해 연예·오락·퀴즈 프로그램을 공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에 상대적으로 젊은 시청자들이 많아서다.
관세청은 이날 전 주무관 등 4명의 세관 공무원을 출연시켰다. 세관 공무원의 애환을 통해 업무와 정책을 소개하고, 기관의 친근성을 높이는 ‘일거양득’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관세청은 4500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소재를 공모, 접수된 170편을 방송 작가 등과 협의해 최종 4편을 뽑았다. 고민에는 마약사범 검거에서 압수물품 관리 등 직무와 관련된 사안뿐 아니라 평소 좋아하는 연예인의 휴대품을 검사한 20대 여성 세관원이 겪은 후유증(?)도 포함됐다.
같이 근무하는 한 동료는 “아이돌 그룹의 가수 M씨를 좋아하는데 우연히 이분을 직접 검사하게 됐다.”면서 “당시 다른 멤버들과 달리 내가 세밀하게(?) 이분을 검사했는데 이후 자꾸 내 꿈에 나타난다.”고 폭소를 자아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1-05-2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