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국회 지식경제위 강창일 민주당 의원이 지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경부 산하 60개 공공기관 중 한국기계연구원의 지난해 평균 연봉은 9776만원으로 1억원에 육박했다. 전체 임직원 319명 중 41%인 131명이 1억원 이상 받는 고액 연봉자들이었다. 반면 한국가스안전공사, 대한석탄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등 15개 기관은 1억원 이상 고액 연봉자가 단 한 명도 없어 대조를 이뤘다.
●지질硏 정강섭박사 연봉 14억
한국기계연구원 다음으로는 한국전기연구원(8996만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8960만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8815만원), 한국화학연구원(8631만원) 순으로 직원 평균 연봉이 높았다.
한전은 7100만원, 가스공사는 7200만원이었다. 반면 평균 연봉이 낮은 공공기관으로는 한국우편물류지원단(4065만원), 기초전력연구원(4073만원), 우체국시설관리지원단(4206만원), 한국우편사업지원단(4245만원) 등이 꼽혔다. 이들 공공기관의 직원 평균 연봉은 한국기계연구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초임 생산성본부 3210만원 최고
또 60개 공공기관 중 개인 연봉왕은 지난해 14억원에 가까운 연봉을 받은 지질자원연구원 소속의 정강섭(51) 박사로 조사됐다. 정 박사는 바닷물에 녹아 있는 리튬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고성능흡착제 제조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의 특허권이 40억원에 포스코로 팔리면서 그는 인센티브 등 성과급 13억원을 받았다. 여기에 기본급, 실적 수당 등을 포함해 지난해 모두 13억 9511만원을 받았다.
신입사원 초봉은 한국생산성본부가 321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한국전력 자회사인 한전KDN(3176만원), 인천종합에너지(2991만원), 무역보험공사(2964만원), 생산기술연구원(2960만원) 순이었다.
반면 한국전력과 석유공사, 가스공사 등 대형 에너지 공기업의 초임 연봉은 2400만~2500만원 수준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1-09-0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