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부족에다 문화재 당국과 지방자치단체의 무관심 등이 겹쳤기 때문이다. 오래전부터 천하 명당으로 소문난 경주 남산은 관리가 허술한 틈을 타 불법 묘지가 끊임없이 조성돼 공동묘지를 방불케 한다.
2일 국립공원관리공단 경주국립공원사무소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남산 공원구역 내 분묘 3000여기(추정)를 대상으로 이전 비용을 지원하는 분묘 이장지원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 목표는 269기다. 공단은 이장 또는 화장에 따라 기당 291만~363만원(석물 이전비 별도)을 지원하고, 그 자리는 평탄화 작업을 한 뒤 수목을 심어 생태 환경을 보전한다.
그러나 예산 확보액이 2억원에 불과해 사업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경주국립공원관리사무소 관계자는 “이 예산으론 50기 이전 지원에 그칠 것”이라며 “올해로 2년째 사업에서 제외된 신청자들의 큰 반발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사업이 알려지면서 경주사무소에 분묘 개장과 이장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정작 문화재 당국인 문화재청과 경북도, 경주시는 남산 분묘 이전 사업을 ‘강 건너 불 구경식’으로 일관해 반발을 사고 있다.
경주지역 문화재 관련 단체들은 “국회와 관련 단체들이 오래전부터 문화재청과 경주시에 남산 분묘에 대한 체계적인 정비 계획을 세워 추진할 것을 요구해 왔지만 계속 외면하고 있다.”면서 “문화재청 등은 분묘 정비 사업을 계기로 관련 사업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남산은 1969년 12월 경주국립공원 남산지구와 1985년 사적 제311호로 지정돼 관련 법에 따라 발굴 등 각종 행위가 엄격히 제한되고 있다.
경주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12-04-03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