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공단 3개 테마 길… 산업화·민주화 7080 추억의 길
‘흰 눈이 온 세상에 소복소복 쌓이면/ 하얀 공장 하얀 불빛 새하얀 얼굴들/ 우리네 청춘이 저물고 저물도록/ 미싱은 잘도 도네 돌아가네/ 공장엔 작업등이 밤새 비추고/ 빨간 꽃 노란 꽃 꽃밭 가득피어도/ 하얀 나비 꽃나비 담장위에 날아도/ 따스한 봄바람이 불고 또 불어도/ 미싱은 잘도 도네 돌아가네’노래를 찾는 사람들이 1989년 내놓은 ‘사계’라는 노래 가사의 일부다. 이 노래를 들으면 봉제공장 미싱 앞에 앉아 있는 여공이 그려진다. 햇볕을 보지 못한 하얀 얼굴은 밤이 되도록 졸린 눈을 부비며 일하고 있다. 공장 밖은 꽃이 피고 눈이 내리지만 여공의 청춘은 계절도 잊었다. 아마도 옛 구로공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이 아니었을까.
구로공단은 구로구 구로동 구로디지털단지의 옛 이름이다. 13년 전인 2000년 12월 개명했다. 가발·봉제 공장들로 빼곡했던 과거 모습은 지우고 첨단 정보기술(IT) 단지로 개편했다.
구로공단은 우리나라 수출산업의 전진기지였다. 1967년 구로1공단 설립 이후 구로공단으로 불렸다. 1968년 구로2공단, 1973년 구로3공단이 들어섰다. 1980년대까지는 신발, 의류, 중공업 등 노동집약 산업이 중심이었다. 1985년에는 당시 열악한 노동 조건으로 인해 구로동맹파업이 일어나기도 했다. 구로동맹파업은 정부가 대우어패럴 노조 간부 3명을 구속시킨 사건을 계기로 구로 지역 노동자들이 6일간 벌인 투쟁이다. 노동자들은 3권 보장, 노동부 장관 퇴진, 노동운동 탄압 중지 등을 요구했다. 6·25 이후 최초의 정치적 동맹 파업으로 불린다. 구로공단은 운동권 대학생들에게 중요한 활동 공간이기도 했다. 시위에 끼었다가 제적된 뒤 취업한 곳이어서다. 이들은 이곳을 무대로 노동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 기업들이 공장을 해외로 옮기고 ‘3D’ 업종 기피 현상이 확산되면서 공단 공동화가 진행됐다. 2000년대 이후 기술 집약형 업종으로 바뀌면서 예전과 같은 노동운동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 현재 구로동맹파업 시발점인 대우어패럴 자리에는 패션타운이, 갑을전자가 있던 자리에는 아파트형 공장이 들어섰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3-10-23 1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