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정책·자원 등 4개 부문 수도권 - 비수도권 큰 격차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2013 지역문화지표 지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6일 밝혔다.
지역문화 지수는 지역문화 발전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마련한 수치로 2012년에 실시한 ‘지역문화 지표개발 및 시범 적용’ 연구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문화정책, 문화자원, 문화활동, 문화향유 등 4개 대분류를 포함해 37개의 지역문화지표가 평가 항목이다.
수원시는 문화정책, 문화향유 부문 지수가 가장 높게 나와 전국 시·군·구 통합 지역문화 지수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경기 부천시, 제주 제주시가 2, 3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에선 지역이나 재정자립도에 따라 지수가 심각한 편차를 드러냈다. 수도권의 지역문화지수 평균은 0.140으로 비수도권의 -0.057과 큰 격차를 보였다. 상위 50위 중 수도권 내 기초자치단체가 23곳을 차지했다. 또 재정자립도가 높은 지역(상위 30%)의 지역문화지수 평균은 0.101로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역(하위 70%)의 -0.100보다 높았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2-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