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갑상어알인 캐비아는 고급 식재료로 각광받고 있으나 국내 토종 철갑상어는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으로 거의 자취를 감췄다.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지난해 5월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에 보낸 토종 철갑상어 10마리 가운데 5마리가 바닷물 적응 시험에 성공해 현재 1m(5.5㎏) 크기로 잘 자라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 5월에는 80㎝(3.7㎏) 정도였다. 앞서 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2009년 5월 북한에서 크기 15㎝(12g)짜리 토종 철갑상어 치어 1000여 마리를 들여와 담수(민물)에서 키워 왔다. 앞서 1998년 러시아로부터 담수 철갑상어를 도입해 국내 최초로 인공 치어 생산에 성공했다.
토종 철갑상어는 서해에서 살다가 알을 낳으러 민물로 돌아오는 회귀성 물고기로 종 복원(인공 치어 생산)과 바다 양식을 위해 바닷물 적응이 꼭 필요하다.
사육 수조의 염도를 조금씩 올리는 방법으로 적응실험을 하는데 2011년과 2012년에는 실패했고 3번의 도전 끝에 성공해 현재 서해 바닷물과 같은 염도인 29.5ppt에도 토종 철갑상어 5마리가 잘 크는 것으로 확인됐다.
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는 “토종 철갑상어 복원은 토종 호랑이 복원만큼이나 어려운 사업”이라며 “이제 첫발을 내디딘 셈이고 향후 10여년의 시간이 더 걸리는 만큼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토종 철갑상어는 태어난 지 15년은 돼야 성어가 되고 최대 4m(450㎏)까지 자란다고 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가 설명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4-03-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