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장보고기지 운영 1주년
남극의 자원영토 확장을 위한 제2기지인 장보고과학기지가 운영 1주년을 맞아 독자 육상연구 경로인 ‘코리안 루트’ 개척을 본격화했다. 코리안 루트가 최종 완성되면 그곳에 숨겨진 각종 자원에 대한 선점 효과를 누릴 것으로 보인다.
|
지난해 12월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대원들이 36㎏짜리 대형운석을 발견한 뒤 만세를 부르고 있다. 해양수산부 제공 |
장보고기지는 해양연구를 위해 건설된 세종기지와 남극점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지난 1년간 운석·화산·빙저호 등 남극 대륙 연구를 통해 남극 종합 연구체계를 완성시켰다. 수월하고 안정적인 내륙 연구를 위한 전초기지를 다져 놓은 셈이다. 지금까지는 킹조지섬의 세종과학기지에서 주로 해양 분야에 한정돼 연구가 이뤄졌었다.
실제 지난해 12월에는 우리나라가 발견한 36㎏짜리 대형 운석을 비롯해 81개의 운석을 수집해 태양계 초기 물질의 진화를 규명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지난달에는 남극 3대 활화산으로 꼽히는 멜버른 화산에서 25년 만에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처음 관측해 국내에서 불가능했던 활화산 연구를 시작했다.
아울러 세계 최초로 남·북극 과학기지(장보고·세종·다산기지)와 쇄빙연구선(아라온) 상황을 국내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극지 종합상황실을 만들어 위기대응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02-12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