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마리 서식… 까치는 멸종 추정
멧돼지가 없는 울릉도에서 꿩은 대표적인 유해 조수로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군은 매년 겨울철이면 ‘꿩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다. 군은 지난 1월까지 1개월여간 엽사 5명을 동원해 울릉도 전역에서 꿩 842마리를 포획했고, 지난해엔 500여 마리를 잡았다.
이처럼 울릉도에서 꿩이 활개를 치는 것은 1980년대 저동의 한 주민이 기르던 꿩 수십 마리가 우리를 탈출, 번식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원래 울릉도에는 꿩이 없었다. 현재 1만 마리가 훨씬 넘는 꿩이 서식하는 것으로 군은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울릉도에서 한때 서식하던 까치는 완전히 사라져 대조를 보인다. 경북도는 1991년 울릉도에 까치 34마리를 풀어놨다. 까치가 없는 섬에 까치가 살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당시 주민들은 길조라며 크게 반겼다. 하지만 까치는 처음엔 야산에서 둥지를 트는 등 번식을 하기도 했으나 5~6년 뒤부터 점차 모습을 감추기 시작했다. 급기야 2000년대 들어서는 완전히 사라지고 말았다. 울릉군은 현재 섬에서 까치가 완전히 멸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류학자인 윤무부 경희대 명예교수는 “평지에 주로 서식하는 까치는 울릉도처럼 산이 많고 평지가 적은 곳에서는 잘 살지 못한다”며 “울릉도에 까치가 좋아하는 먹이인 뱀과 벌레가 없거나 적은 것도 까치가 제대로 번식할 수 없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울릉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