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든 美질병관리본부장 GHSA 기자회견
“그날 정보는 설령 예비 수준이라 해도 그날 바로 국민에게 공개해야 합니다. 아는 건 아는 대로 얘기하고 모르는 건 모른다고 말하는 걸 두려워하지 않아야 합니다. 무엇보다 신속한 의사소통이 중요합니다.”각종 여론조사에서 미국인이 가장 신뢰하는 공공기관 가운데 하나로 꼽는 미국 질병관리본부(CDC)를 이끄는 토머스 프리든 본부장이 밝힌 비결은 바로 “투명한 정보 공개”였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당시 병원 이름조차 공개하지 않다가 화를 키운 한국 정부가 새겨야 할 교훈과 일맥상통한다.
프리든 본부장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7일부터 사흘 일정으로 열리고 있는 ‘제2차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고위급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그는 세계보건기구(WHO) 동아시아지역 사무소(SEARO) 의료담당관, 뉴욕시 보건위원장을 거쳐 2009년부터 현재까지 7년 동안 미국 보건당국 수장을 맡고 있다.
프리든 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미국 질병관리본부의 운영 원칙과 에볼라 대응 경험, 한국의 메르스 대응 등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공중보건 문제에서 보건당국과 언론은 자유롭고 열린 의사소통을 통해 국민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는 원칙을 확인이라도 하듯 한 시간 가까이 솔직한 태도로 대화를 이어 갔다.
그가 강조한 첫 번째 원칙은 “긴급사태에서 항상 정직하고 열려 있는 태도로 솔직하게 국민을 대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는 “미국 국민이 우리 기관을 신뢰하는 이유는 우리가 설령 ‘불편한 진실’이라 할지라도 진실을 말할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공중보건을 담당하는 정부기관으로서의 독립성”을 강조했다. 그는 “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 보건당국이 독립적인 권한을 갖고 있고 서로 대등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고 말했다.
프리든 본부장은 질병 관리에서 지역사회 참여와 시민의 주인의식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타인을 배려하는 문화가 있어 아픈 사람이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걸 흔히 볼 수 있다”며 “미국도 그런 문화가 있으면 좋겠는데 그게 잘 안 된다”고 털어놨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5-09-08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