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6개월간 月 60만원 공약…전남도·부천시 등도 긍정 검토
효과없는 직업교육 위주 정책 불신“구직기간 동안 버틸 돈이 절실”
최악 구직난 속 안전망 논의 가속
|
14일 성남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월 이후 청년배당 신청자를 모집해 지금까지 모두 1만 420명에게 13여억원 상당의 지역상품권을 지급하며 순항 중이다. 청년배당은 성남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3년 이상 거주한 만 24세 청년에게 지역상품권을 연간 50만원씩 주는 정책이다.
서울시의 청년수당(저소득 청년 구직자 3000명에게 최장 6개월간 월 50만원씩 주는 제도) 정책은 보건복지부의 반대로 연내 시행이 불투명하다. 하지만 박원순 서울시장이 “반드시 시행하겠다”며 강한 의지를 수차례 드러냈다. 이낙연 전남도지사나 김만수 부천시장 등 야권 소속 단체장들도 청년수당제 도입에 긍정적인 입장이다. 경기 시흥시에서는 주민 1만여명이 청년지원을 위한 조례안을 주민 청구방식으로 시에 제출해 조례가 제정되는 등 주민 주도형 도입 움직임도 있다. 여당 소속인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선별 복지’ 차원에서 중위소득 80% 이하 저소득층 근로청년 500명을 지원하는 ‘일하는 청년통장’제를 도입했다.
지자체가 청년수당제를 밀어붙이는 데는 정부의 청년 고용 정책이 그동안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식으로 이뤄졌다는 불신이 깔려 있다. 정부는 올해 청년 고용 예산으로 2조 1000억원을 편성하는 등 매년 막대한 돈을 붓고 있지만, 전국 청년(15~29세) 고용률은 2012년 40.4%에서 2015년 41.5%로 1.1% 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현행 청년 고용 대책이 직업 교육 위주로 짜인 탓에 실효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정병순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구직자에게 절실한 건 직업 교육이 아닌 벌이 없는 구직 기간을 버틸 수 있는 돈”이라고 말했다. 실제 서울연구원이 작성 중인 ‘서울시 청년지원사업 추진방안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대표적 청년 일자리 사업인 ‘취업성공패키지’는 별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정부의 내부 자료를 토대로 2014년 직업교육을 받은 청년층 4만 4290명의 취업률을 분석했더니 교육 뒤 지금까지 월 150만원 이상 주는 일자리에 취업한 비율은 24.4%에 불과했다. 이병희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악의 청년 구직난을 생각할 때 청년을 위한 사회 안전망 구축 논의는 점점 활발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6-03-15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