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크기 조림지에 양묘~운반 일관체계 구축
지난 9일 전망대에서 내려다본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 코린도 조림지는 거대한 나무공장을 떠올리게 했다. 6만 7300㏊(673.0㎢·2억 358만 2500평)으로 서울(605.3㎢)보다 넓게 펼쳐진 조림지에선 무엇보다 임업국가답게 과학에 기반한 임업경영을 직접 목격할 수 있었다. 현대 임업은 좋은 육종 생산에서 나무를 심는 것보다 형질이 우선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육종 연구와 조림·관리·생산까지 일련의 과정이 조림지 내에서 이뤄졌다.우리나라 산림청에서 운영하는 한·인니 산림센터의 오기표 센터장은 “목재는 긴 투자기간에 비해 가격이 낮아 상대적으로 경제성이 떨어진다”면서 “생장률이 좋은 나무를 심어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유통 비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치열하다”고 말했다. 코린도 임업본부는 팡갈란분에서 목재칩이나 합판내재 등 저급재로 사용하는 인도네시아 자생 수종인 유칼립투스와 자본메라에 대한 품종개량을 진행하고 있다. 실험실에서 우수한 품종으로 선별된 유칼립투스 99개 클론(복제) 묘목을 노지에 심어 5년 5개월간 비교한 결과 170번 묘목의 생장이 가장 우수했다. 2.5m 간격으로 심은 나무는 높이(23.9m)와 흉고 직경(20.8㎝)이 다른 클론 묘목을 압도했다. 특히 생존율은 밀식조림보다 3~4m 간격으로 심은 나무들이 높았다.
생장이 우수한 나무에서 새순을 잘라 심는 ‘삽목’ 방식으로 양묘장을 운영하고 있다. 유전적 우수성을 보유한 삽목을 옹기묘에 담아 뿌리가 내리는 2주간 온실에서 키운 뒤 비를 피할 수 있는 장소(비응대)에서 10일, 노지에서 2개월간 적응단계를 거쳐 3개월이면 조림수로 활용할 수 있다.
벌채는 인력을 빌리지 않고 기계화를 통해 최적화했다. 벌채 작업이 마무리된 블록5(1300㏊)에서는 인부 26명을 투입해 한 달 만에 유칼립투스 펠리타 7900t을 생산했다. 잔가지와 뿌리 등은 수거하지 않고 퇴비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벌채에서 조림까지 두 달여 만에 마무리할 참이다.
이곳 조림지에는 2300㎞나 되는 작업임도가 개설돼 벌채목을 쿠마이강 주변 목재칩과 제재목 공장으로 옮겨 가공한 뒤 선박을 이용해 운반하는 등 일관 체계를 갖췄다.
임하수 산림청 해외자원개발담당관은 “해외 조림은 국내 목재 자급률을 높이고 안정적인 목재자원과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라며 “녹색사업단과 산림센터 등을 통해 해외에 진출한 기업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에 애쓰겠다”고 말했다.
글 사진 팡갈란분(인도네시아 칼리만탄주)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6-03-17 1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