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2~5번 받느라 애들한테 소홀할 정도로 서류 작업에 시달려
경기도 어린이집에 대한 지도점검이 연간 1~2회로 크게 줄어든다. 그동안 많게는 5번가량 받다 보니 애들을 볼보지 못할 정도로 과도한 업무 부담에 시달린다는 어린이집들의 불만이 적지 않았다.어린이집은 시·군과 도, 부모모니터링단으로부터 연간 적게는 2번, 많게는 5번가량 지도점검을 받는다. 정기점검과 특별 기획점검, 수시점검, 평가인증 등이 점검에 포함돼 있다. 특히 지도점검과 평가인증까지 겹치는 해에는 어린이집이 애들을 돌보지 못할 정도로 과도한 서류 작업에 시달린다. 평가인증이란 영유아에게 안전한 보호와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평가인증지표를 기준으로 어린이집의 수준을 점검하고 개선하도록 한 후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시설을 국가가 인증하는 제도다. 어린이집의 신청에 의해 평가를 받으며 인증은 3년간 유효하다. 인증 유무에 따라 지자체 지원금 차이가 날 뿐 아니라 ‘신뢰할 수 있는 어린이집’을 판단하는 근거가 돼 인증을 받고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경기도에 9800곳이 평가인증을 획득했다.
문제는 신청에서 평가 후 결과를 받기까지 3개월이란 장시간이 소요되고 준비할 서류가 많다는 점이다. 어린이집 측은 “평가인증제를 위해 40인 미만 어린이집은 80여 가지 서류를, 40인 이상이면 100여 가지 서류를 3∼4개월간 준비해야 하느라 과도한 업무에 시달린다”며 제도개선을 요구했다.
도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도점검과 평가인증, 학부모 모니터링단 점검 가운데 중복되는 부분은 통합해 점검횟수를 줄여나가기로 했다. 정기점검은 행정처분 위주가 아닌 도와주는 컨설팅 방식으로 바꿔 평가인증과 학부모모니터링에 집중하도록 어린이집 부담을 줄여줄 계획이다. 찾아가는 컨설팅 지원을 위해 도청 보육지도팀을 보육컨설팅으로 변경하고 전문관 1명을 추가로 배치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해 현재 도내에는 1만 2689개 어린이집이 운영 중이다. 이중 국·공립 어린이집이 1038개, 민간어린이집이 4500개, 가정 어린이집이 7646개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