男 장애인 고용률의 절반 수준… 경제활동 참가 낮아 자활 한계
1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청장년 장애인의 경제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 청장년 장애인의 실업률은 9.2%로 전체 인구 실업률(3.7%)보다 2.5배 높았다. 남성 청장년 장애인의 실업률은 7.4%로, 전체 인구 실업률을 2배 웃돌긴 했지만 여성 장애인보다는 낮았다. 장애인 가운데 특히 여성의 취업난이 심각하다는 점을 보여 준다.
여성 장애인은 현재 일하거나 일할 의사를 갖고 일자리를 구하는 경제활동 참가율 자체가 낮았다. 남성 청장년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66.2%인 반면, 여성은 36.8%에 불과했다. 남성 장애인은 전 연령대에서 30대 때 경제활동 참가율이 74.6%로 가장 높은 데 반해, 30대 여성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2.7%로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낮았다.
여성 장애인의 경제활동이 저조한 것은 낮은 임금, 교육과 경험의 부족, 차별과 선입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2014년 보건복지부의 장애인 실태조사를 보면 남성 청장년 장애인의 월급은 평균 209만원, 여성은 110만원이다. 장애인에 대한 차별 대우를 받은 적이 있다는 응답은 30대 여성 장애인에서 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같은 연령대 남성 장애인 가운데 차별 대우를 받았다고 응답한 사람은 0.0%였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4-1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