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호승 시인 |
|
정호승 시인 |
이번 시집의 뼈대와 속살을 이루는 것도 부박한 삶을 고해하고 용서와 희생, 겸양, 인내, 사랑의 가치를 일깨우는 시인 특유의 서정이다. 시인의 말에서 그는 “이번 시집을 통해 희망은 무엇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무엇이 내 인생의 소중한 가치인가 하는 고통의 질문을 끊임없이 해보았다”고 말한다. 이 고백처럼 가장 낮은 곳에 엎드린 시적 화자 ‘나’는 ‘이 누추한 세상에서 어떻게 바르게 살 것인가’를 되뇌이며 번민하고 절망하고 또 다시 희망한다.
|
새 시집 ‘나는 희망을 거절한다’(창비) |
시인은 ‘그동안 돈 몇푼 버는 일에/인생의 부스러기 시간까지 다 써버’(오늘의 혀)렸다며 ‘인간의 죄 많은 풍경들’을 뼈아프게 응시하고, ‘삶은 어느날 동백꽃 한송이/땅바닥에 툭 떨어지는 일이었다고’(길) 빈손으로 삶을 관조하기도 한다.
“시가 이루어지는 순간이 인생의 사랑이 이루어지는 순간”이라고 찬탄하는 시인에겐 이승에서 마지막 받고 싶은 선물 역시 시다.
‘이승을 떠날 때 마지막으로/받고 싶은 선물이 있다면 그것은 시집이다/서점의 신간 코너에 막 진열된 눈물의 시집이다/절판된 시집의 책갈피에 누가 넣어둔 붉은 단풍잎이다/만년필로 유언장에 꼼꼼히 써놓은 대로/그동안 내가 읽은 시집들은 불태우지 말아라/시집은 이승에서 마지막으로 먹을 수 있는 내 봄날의 모유다’(생일 선물)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