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문화원은 2일 김해시 내동 연지공원 야외공연장에서 지역인사와 유림 후손, 시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유림독립운동 파리장서비’ 제막식을 거행했다고 밝혔다.
파리장서운동은 1919년 한국 유림대표 곽종석·김복한 등 137명이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는 편지인 장서(長書)를 쓰고, 김창숙 등 10명은 중국 상하이에서 편지를 3개 국어로 번역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파리평화회의장으로 보낸 독립운동을 말한다.
이 장문의 편지에는 일제의 한국 주권 찬탈 과정을 폭로하고 식민 지배의 불법성과 한국독립의 정당성을 담아 한국의 모든 계층과 사회집단이 독립을 열망하고 있음을 세계 곳곳에 알렸다. 당시 김해에서는 노상직, 류진옥, 안효진, 허평 선생 등이 참여했다.
파리장서비는 1972년 10월 서울 장충단공원에 처음 세워졌다. 이어 1977년 경남 거창, 1997년 대구, 2006년 충남 홍성, 2007년 경남 합천, 2014년 경북 봉화 등의 지역에도 건립됐다.
김해에 선 ‘한국유림독립운동 파리장서비’ 김해에 선 ‘한국유림독립운동 파리장서비’ (김해=연합뉴스) 최병길 기자 = 2일 경남 김해시 내동 연지공원에 세워진 ’한국유림독립운동 파리장서비’를 한 시민이 지켜보고 있다. 2017.3.2 choi21@yna.co.kr/2017-03-02 14:43:36/ <저작권자 ⓒ 1980-2017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이양재 김해문화원장은 “온갖 고초를 무릅쓰고 독립운동에 나섰던 지역 유림들의 애국정신의 기리는 파리장서운동기념비가 후손들에게 나라 사랑 마음을 심어주는 소중한 역사 교육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해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