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질병관리본부(KCDC)가 자체적으로 조사한 ‘초라한’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공개한 데 이어 이달에는 이 조사 결과에 근거해 청사가 위치한 오송역에 단어의 철자 앞뒤와 위아래가 일부 바뀐 게시물을 공개하자 여기저기서 나온 반응이다. 이런 반응은 정부부처뿐만 아니라 일반기업에서도 질병관리본부의 소통방식이 다소 파격적이라는 의견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왜냐하면 어느 조직이건 잘한 점을 알리려고 하지, 부끄러운 부분이나 못한 부분을 스스로 들춰내려고 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정부라면 굳이 그런 일을 들춰내서 나중에 이슈화되는 것을 본디 싫어하고, 기업이라면 매출이 떨어질 소식을 공개하는 것 자체가 금기시돼 온 것이 사실이다.
|
이런 상황에도 불구, 질병관리본부가 인식조사결과에 자기고백을 지속하고 다가서려고 노력하는 것은 다른 어느 정부기관이나 기업보다 ‘신뢰‘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신뢰가 바탕이 되지 않는 소통은 오히려 역효과만 낳는다. 마치 전쟁 상황에서 누군가가 의약품을 내밀었을 때 시한폭탄인 줄 알고 받는 사람이 이를 내던져버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신뢰는 생명인 것이다. 자기고백은 여기서 출발하고 있다. 현재의 위치를 국민들에게 소상히 알리고 그 바닥 위에서 하나하나 다시 벽돌을 쌓아가면서 진정성을 보여줘야 한다. 그렇게 신뢰를 쌓았을 때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와 같은 위기상황이 다시 닥치더라도 보건당국의 메시지에 국민들이 귀 기울이고 질병 조기 차단과 확산 방지에 적극 동참해 조기에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런 인식에 근거해 ‘신뢰에 바탕을 둔 신속·정확·투명한 소통’을 금과옥조로 삼고 있다. 신뢰는 쌓기는 어렵지만, 잃기는 한순간이다. 언제든지 닥칠 수 있는 질병위기상황에 대비해 호시우보(虎視牛步·호랑이같이 날카롭게 사물을 보고 소같이 신중하게 행동한다는 뜻)의 자세로 국민들과 소통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박기수 명예기자(질병관리본부 위기소통담당관)
2017-05-15 3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