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만해로드 대장정
“역사는 기억하는 사람의 것입니다. 비록 지금은 작은 자리지만, 앞으로 소중한 자리가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지난 12일 서울 성북구 성북동 심우장에서 김영배(앞줄 왼쪽 세 번째) 성북구청장과 ‘2017 만해로드 대장정’에 참여한 학생들이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 심우장은 만해 한용운 선생이 1933년부터 입적한 1944년까지 살았던 곳이다. 성북구 제공 |
2015년부터 해마다 진행되는 만해로드는 ‘만해 한용운 선양사업 지방정부협의회’(지방협의회)가 주최하고 동국대 만해연구소가 주관하는 행사로 한용운 선생의 출생, 문학, 독립운동, 수행, 입적과 관련된 공간들을 돌아본다. 지방협의회는 성북구와 서대문구, 충남 홍성군, 강원 인제군·고성군·속초시 등 6개 지자체가 협력해 구성됐다.
심우장은 만해로드의 시작(출정식)과 끝(해단식)이 되는 공간이다. 김 구청장은 학생들에게 심우장에 얽힌 이야기를 꺼내며 만해로드의 시작을 알렸다. “한옥은 보통 남향으로 짓지만, 심우장은 특이하게도 북향으로 지었습니다. 남쪽 산등성이 너머에 조선총독부가 있었는데, 무의식중에라도 그쪽을 쳐다보게 될까 봐 일부러 북향으로 지은 겁니다.”
만해로드 탄생에는 김 구청장의 확고한 역사관이 큰 역할을 했다. 그는 “2년 전 광복 70주년엔 한용운 선생 같은 분을 기리는 행사가 당연히 여럿 열리고 많은 사람이 추모할 줄 알았지만 오산이었다”며 “누군가는 일부러 역사를 기억하지 않으려 하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친일파를 가려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용운 선생과 같은 훌륭한 사람이 사실 우리 역사의 정통임을 알고 그 역사를 기억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대학생 한소담(20)씨는 “한용운 선생에 대해 교과서에 나오는 인물 정도로만 알면서 깊이 들여다볼 생각을 하지 못했다”며 “이 길을 다 걷고 나면 선생에 대해, 그리고 우리 역사에 대해 좀더 알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베트남, 몽골 등에서 온 외국인 유학생들도 눈에 띄었다. 볼강(19·몽골)은 “교수님 추천으로 참석하게 됐다”면서 “이번 대장정을 통해 성북구와 인제, 고성, 속초 등을 돌며 한국의 현재 모습뿐 아니라 과거까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구청장은 마지막으로 “이번 대장정이 ‘한용운 선생이 젊었을 때, 나이 들었을 때, 돌아가시기 전에 무슨 생각을 했을까’, ‘왜 목숨까지 내걸며 그런 행동을 했을까’,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7-08-1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