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대방역을 지하로 횡단하는 지하보도 구간은 길이가 약200m나 되는데다가 음침하고 교행이 어려울 정도로 폭이 좁아 범죄로부터의 불안감이 심한 구간으로 알려져 있다고 김 의원은 덧붙였다.
서울의 열악한 주거환경 중의 한 곳인 신길지역은 재개발 이전에는 젊은 층이 떠나 학생 수가 감소하였으나 재개발 이후에는 젊은 층의 유입이 가속화 되고 있는 상태이며, 6개 구역의 사업이 완료되면 8,733세대가 거주하게 되고 해당년도에 731명의 학생의 배치가 필요하지만, 교육부에서는 학교총량제와 매년 감소하는 학생 수를 이유로 학교의 신설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희망적인 부분은 신설을 요청하는 신길중학교는 지역재개발 추진과정에서 학교 부지를 사업자 부담으로 191억원을 투자하여 확보하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교육부 승인을 희망적으로 기대하고 있는 상태이다.
김 의원은 원거리 통학으로 위험에 노출된 학생들의 안전을 지켜주어야 하고 대단지 재건축으로 인하여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여건, 수십 년 동안 신길동지역의 낙후된 교육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지역 주민의 염원인 신길중학교 신설을 적극적으로 피력했다.
이날 동행한 ‘신길동중학교유치위원회’ 학부모들은 4,500여명이 서명한 청원서를 조희연 교육감에게 전달했으며, 교육감은 교육부 심사가 긍정적으로 결론지어지길 바라면서 여러 가지 다양한 해결방안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다고 답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