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혁 통일硏 통일준비연구단장
“얼마 못 가 제 기록이 깨질 줄 알았는데, 유감스럽게도 아직까지 그대로입니다. 그만큼 남북 관계가 그동안 잘 풀리지 않았다는 방증이겠지요.”2007년 당시 통일부 국장이던 김기혁 통일준비연구단장이 경의선 철도 현대화사업 점검을 위해 방북해 평양 대동강변에 위치한 주체사상탑 꼭대기에 서 있는 모습. 김기혁 통일준비연구단장 제공 |
제37회 행정고시 재경직으로 합격한 김 단장은 1994년부터 통일부 근무를 시작했다. 정보분석, 차관비서관을 거쳐 정책실과 교류협력국, 남북회담본부와 기획조정실, 교육원에서 근무했다. 그 과정에서 경협지원과장과 회담1·2과장, 교육운영과장, 운영지원과장, 행정법무담당관, 기획재정담당관 등 통일부 내의 인사, 조직, 예산 등 살림살이를 도맡았다. 통일부 고위공무원으로서는 지난해 남북회담본부 회담기획부장으로 근무했다.
김 단장은 “남북 당국 간 협력사업인 철도·도로 연결사업, 대북송전사업, 임진강 수해방지사업, 농업협력사업, 항만건설 등을 총괄하는 경협지원과장을 맡다 보니 2005~2007년에 방북을 많이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단장은 “개성공단을 열려고 준비하던 시기에는 생소하고 다양한 분야를 검토하고 준비해야 했기에 겁도 없이 닥치는 대로 살인적 밤샘을 하면서 일을 했다”면서 “공단이 구체화되고 입주기업이 선발돼 제품이 생산되면서부터는 정말 피곤한 줄도 모르고 보람을 느끼며 일을 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작년 초 갑자기 개성공단 폐쇄를 결정하면서 입주기업에 대한 보상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한 달 넘게 밤샘을 했는데 그땐 몸도 마음도 천근만근이고 우울한 기분을 떨칠 수 없었다”면서 “무언가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어렵게 만들고 유지하던 공단을 없애기 위해 일을 한다고 생각하니 기가 막힐 수밖에 없었다”고 공무원 생활 중 가장 힘들고 괴로웠던 시간을 지난해 개성공단 폐쇄 당시로 꼽았다.
김 단장은 “알다시피 이명박 정부 출범 초기에 통일부가 폐지될 위험에 처한 적이 있었다”면서 “지금 보면 말도 안 되는 일이었지만 그 이후 직원들의 마음가짐도 더 단련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지난 9년 전으로 단순히 돌아가기만 해서는 일을 제대로 추진할 수 없는 환경이 돼 버렸다”며 “남북 관계와 통일 문제는 완전히 다른 상황과 보다 복잡한 함수로 얽혀 있어 문제 해결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에 맞는 정교한 정책과 보다 굳건한 국민의 지지가 절실히 필요하다”면서 “문제의 핵심은 남북 관계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지난 9년의 경색 풀기 후배들과 최선”
김 단장은 “통일부 후배들은 지난 9년간 남북 관계가 경색되면서 북한에 대한 다양한 실전 경험을 쌓을 기회가 없었고 방북을 해 보지 못한 직원도 반이 넘는다”며 “앞으로 내가 가진 경험을 후배들에게 최대한 전해 주는 게 내 임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7-08-21 3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