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은 지역간선도로와 도시고속화도로로 이원화해 건설된다. 지역간선도로(성동~월릉교, 4차로, 총연장 8km)는 서울시가 8천억을 들여 현재의 지상 도로를 걷어내고 지하 터널로 건설한다. 터널 위에는 여의도 공원 10배(약 221만㎡)에 달하는 친환경 수변공원을 조성할 예정이다. 공사는 2021년 착공해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된다.
도시고속화도로(삼성~월계1교, 4~6차로, 총연장 13.9km)는 민자 1조1천700억원 유치해 중랑천 지하(40~60M)에 터널 도로를 만든다. 2018년 하반기에 착공해 2023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고속화도로가 개통되면 1시간여 소요된 강남~의정부(26.7km)를 24분에 통행할 수 있게 돼 경제적 효과도 클 것으로 보인다.
앞서 서영교 국회의원(중랑갑)은 민자 사업자를 만나 고속화도로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당부했다. 또 김동율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4)은 서울시에 지역간선도로 사업의 정상추진을 촉구했다.
이날 김태수 의원은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은 강남·북 균형발전 및 대중교통 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교통체증, 환경오염 해소에 따른 사회적 비용감소에도 큰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중랑천을 가로막았던 자동차도로가 사라지고 이곳에 친수공간 조성과 생태하천 복원이 되면 중랑천 주변의 주민들이 직·간접적으로 큰 혜택을 볼 것”이라고 하면서 “주민들 삶의 개선을 위해 조속하게 지하화 사업을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