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자리에는 꿈의학교 운영자 모임인 꿈넷 지역별 관계자가 참석해 운영자가 느끼는 어려움을 함께 논의했다.
황 의원은 “경기꿈의학교에 대한 마을교육공동체의 관심이 높은 만큼이나 의회에서도 2020년도 예산안 심의과정에서 경기꿈의학교가 이제는 안주가 아닌 변화를 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면서 “예산안 통과의 조건으로 부기사항을 통해 경기도교육청에 경기꿈의학교 2.0을 만들어 줄 것을 요청했지만 막상 올해 꿈의학교 선정과정에서도 운영상의 문제점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집행부와 꿈넷도 의회가 지적한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만큼 의회에 대한 막연한 불신이 아닌 아이들을 위한 꿈의학교 만들기에 더 노력해 달라”고 주문했다.
제평섭 경기도교육청 꿈의학교담당 장학관은 “꿈의학교 선정과정에 있어 심사위원의 전문성과 공정성 시비는 피할 수 없는 측면이 있다”면서 “실제 꿈의학교가 지역단위에서 정착할 수 있도록 꿈의학교 지역운영위원회의 역할을 강화하는 등 제도 개선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참석한 꿈넷 운영자들도 다양한 의견을 제안했다. 한 참석자는 “교육청이 꿈의학교를 사업으로 보고, 꿈의학교 운영자를 사업자나 소위 말하는 업자로 바라볼 때 가장 속이 상하다”면서 “꿈의학교는 학교 밖 학교로 인식하고 보아야 정체성을 찾을 수 있다”고 인식제고를 촉구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지역에서 활동하는 꿈의학교 운영자는 다른 꿈의학교 운영자의 활동도 정확히 보이고 평가가 가능하지만, 정작 교육청은 1명의 담당자가 일을 맡고 있다 보니 잘 모르기 일쑤”라면서 “잘 운영되는 꿈의학교와 잘 운영되지 않는 꿈의학교가 마구 뒤섞인 현실에서는 제대로 꿈의학교를 운영하는 운영자도 피로감을 느낄 수 밖에 없는 만큼 제대로 된 평가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황 의원은 “꿈의학교가 한시적으로 끝나는 정책 사업이 아닌 우리나라 대안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사업이 되어야 한다”면서 “건전한 비판이 없다면 건강한 정책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의회는 지원과 함께 꿈의학교가 제대로 성장할 수 있도록 견제와 감시를 지속할 것이고, 이번에 제기된 문제까지 포함하여 의회가 중심이 돼 현행 조례의 개정을 준비하고 있다”며 “꿈의학교 운영에 있어 보다 투명하고, 진정 아이들을 위한 안전한 꿈의학교를 만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