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철우(왼쪽 네 번째) 경북도지사와 김봉렬(왼쪽 다섯 번째)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양 기관 관계자들이 지난해 1월 21일 경북도청에서 업무협약을 맺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경북도 제공 |
1993년 개교한 한예종은 4년제 국립특수대학교로, ‘문화예술 분야의 서울대’라 불리는 국내 최고 예술대학으로 꼽힌다.
9일 도에 따르면 경북도는 지난해 1월 도청 회의실에서 한예종과 지역 문화예술 창달·진흥, 청년 예술가 일자리 증진 등을 골자로 한 상호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도는 2021년까지 3년 간 30억원을 들여 기존 ‘경북도청 신도시 홍보관’을 ‘청년예술인 창작센터’로 재단장, 유능한 청년예술 인재의 활동 무대로 만들기로 했다. 신도시 홍보관은 40억원을 들여 건립됐으나 콘텐츠가 빈약하고 방문객이 거의 없어 애물단지로 전락된 상태다.
또 한예종에 창작센터를 위탁 운영해 청년 문화예술 활동가 협업, 역량을 강화해 전문가를 양성하기로 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협약 1년 6개월이 다 되도록 제자리걸음만 할 뿐 아무런 진척도 보이지 않는 상태다.
따라서 양측이 청년예술인 양성 등에 의욕만 앞세웠을 뿐 치밀한 전략이나 준비 없이 매달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게다가 코로나19 사태로 청년 예술인 모집 및 교육 등 사업 파행 장기화가 불가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 관계자는 “한예종과의 협약 공동 이행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돼 현재 무효화를 협의 중에 있으며, 큰 이견은 없다”면서 “신도시 홍보관은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안동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