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김 의원은 그동안 언론을 통해 경기교통공사 입지로 거론된 몇몇 지역들을 언급하는 과정에서 “대통령과 도지사께서 자율주행차량을 시승한 곳이 어디냐, 판교지역은 왜 입지대상에 없느냐”고 물으며 “테크노밸리, 수소차 등 각종 첨단시설이 있는 지역에 공사가 입지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또한 김 의원은 대도시권광역위원회와의 협력 관계 구축에 대해서도 “향후 경기교통공사는 수도권 교통을 컨트롤할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와의 밀접한 협력관계, 자동차 및 에너지 관련 대기업과의 연관성 등을 고려한 최적의 입지를 선정하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경기교통공사의 입지문제가 지역발전만을 위한 좁은 시각에서 볼 것인지 생각해 봐야 한다”며 최근 언론에서 언급한 후보지역들의 타당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태환 경기도 교통국장은 “공사의 위치에 대해 교통국에서 그동안 검토한 적은 없다. 경기교통공사 조례가 아직 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입지에 대해 검토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명확한 입장을 밝히며, “입지선정위원회가 구성된 이후 건교위원회 의원들께 미리 보고 드리겠다”고 답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