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 제공 |
이선구 의원이 보건환경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오염도 검사의 부적합 건수는 2018년 389건 중 41건, 지난해 358건 중 41건, 올해 7월 기준 181건 중 6건이 부적합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이선구 의원은 ”지하역사, 지하상가, 백화점 등 대규모 다중이용시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이들 시설에 대한 현황 분석 및 시설 유형을 고려한 체계적인 실내공기질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라며 “계속해서 부적합으로 적발된 시설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개선대책과 검사결과 활용방안 마련을 강구해 달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실내공기질 유지기준과 권고기준이 별도로 마련돼 있으나, 신축 공동주택과 대중교통차량의 경우 권고기준만 규정된 것과 관련해 “다수의 이용객이 밀집돼 공기질 관리에 취약한 버스 등 대중교통에 대한 실내오염도 검사를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