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지난해 말부터 지루하게 이어진 백신 수급 차질과 백신의 효과성·안전성에 대한 논란은 백신에 대한 신뢰를 크게 떨어뜨렸다. 그러나 백신 접종이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면서 이런 논란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백신 공급에 대한 우려는 국민의 수용성이 높은 백신을 다수 계약하고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2분기 백신 공급을 늘리면서 해소되고 있다. 백신의 효과성도 다양한 자료를 통해 증명되고 있다. 적극적으로 백신을 접종한 이스라엘, 영국, 미국의 유행상황은 급격한 안정세를 보이는 중이다. 우리나라도 요양병원의 집단 발병 사례가 급격히 감소하고 고연령층의 사망률도 3차 유행만큼 심각하지 않다.
그러나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전 세계에서 이미 수억 회의 접종건수를 보이고, 백신에 대한 철저한 감시체계를 가진 서구권 국가에서도 바이러스 전달체 백신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혈소판감소성혈전증 이외에는 특별한 문제가 관찰되지 않음에도 말이다.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적 신뢰 부족은 전문가와 당국의 과학적 인과관계에 대한 의사소통 실패, 백신의 정치적 논쟁화, 언론의 속보 경쟁 등이 표면적인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그 본질은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백신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는 경험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유럽이나 미국의 백신에 대한 인식은 코로나19 이전에는 우리나라보다 훨씬 떨어졌다. 이는 우리 사회가 겪었던 백신 접종 후 사망신고 논란, 인과성 평가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을 미리 경험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가 압축성장을 하는 동안 백신에 대한 성숙된 논의는 부족했고, 국가 주도의 백신 접종이 이뤄졌던 것이다.
2021-06-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