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온라인 통해 포럼 본행사 진행
|
8일 오전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이재명 경기도지사(가운데), 송하진 전북도지사, 장현국 경기도의회 의장, 이원태 한국인터넷진흥원장, 민기영 한국데이터 산업진흥원장, 유승경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장 등 2021 데이터 주권 국제포럼 개회식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
앞서 경기도는 지난달 27일 데이터 주권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한 1차 웨비나를 열었다. 2차 웨비나에선 미국 캘리포니아, 호주 퀸스랜드, 유럽연합 등 해외 지자체뿐만 아니라 유니세프 같은 해외 민간기업과 국제기구의 정책사례를 전문가 강연을 통해 제공했다.
로디스 카스트로 라미레즈 캘리포니아 기업·소비자서비스 및 주택청장의 ‘미국 캘리포니아의 데이터 주권과 마이데이터 활용 사례’를 시작으로 ▲마르틴 매닐 에스토니아 탈린시 CIO의 ‘데이터 주도 그린 글로벌 시트를 향해’ ▲셰인 마셜 호주 퀸스랜드 주정부 소비자·디지털 그룹 국장의 ‘호주와 퀸스랜드의 데이터 주권’ ▲말테 바이어-카첸베르거 유럽집행위원회 데이터혁신정책관의 ‘유럽연합의 데이터 주권 현황과 마이데이터 활용 정책’ ▲안띠 포이콜라 마이데이터글로벌 의장의 ‘헬싱키의 마이데이터 사례’ ▲앨런 미첼 마이덱스 이사의 ‘개인 데이터 주권 및 마이데이터 활용 사례: 영국 공공서비스’ 등 다양한 강연이 진행됐다.
본 행사인 데이터 주권 국제포럼은 8일 온라인으로 열리며 ‘함께 만드는 공정한 데이터 세상’을 주제로 개인의 권리를 중심으로 모두가 잘 사는 공정한 데이터 세상을 만들기 위한 방법과 사용자의 역할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임문영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은 “이번 웨비나는 데이터 주권 국제포럼의 일환으로 데이터 주권 정책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보다 심도 깊게 알아보기 위한 것”이라며 “에스토니아 탈린시의 경우 자기 개인정보를 가져가 쓰면 누가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 지 추적할 수 있는 ‘데이터 트랙커’ 서비스를 국가 차원에서 제공해 화제가 됐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데이터 주권은 도민이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권으로, 거스를 수 없는 전 세계적 흐름인 만큼 널리 인식이 확산될 수 있도록 웨비나 및 본 행사인 데이터 주권 국제포럼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