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관리자 비율 꼴찌’ 해양경찰청… 경찰청도 목표치 미달
|
여성가족부 |
여성가족부는 22일 국무회의에서 ‘공공부문 여성대표성 제고 5개년(2018∼2022) 계획’에 따른 지난해 추진 성과를 보고했다.
2018~2021년 이행 실적을 보면, 고위공무원 중 여성 비율이 지난해 처음 10.0%를 기록했다. 2018년에는 6.7%, 2019년 7.9%, 2020년 8.5%였다.
여가부는 여성 고위공무원 미임용 부처를 줄이기 위해 ‘여성고위공무원 임용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는 등 적극적 노력으로 올해 최종목표(10.0%)를 조기 달성했다고 소개했다.
주요 의사결정 직위에 해당하는 중앙부처 본부·지자체 과장급, 공공기관 임원의 여성 비율은 20%를 넘어섰으나, 4년 간 4~9% 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중앙부처 본부 과장급 여성 비율은 2018년 17.5%에서 지난해 24.4%로 올라 6.9% 포인트 상승했다. 지자체 과장급 여성 비율은 15.6%에서 24.3%로, 공공기관 임원 17.9%에서 22.5%로 올랐다. 공공기관 관리자는 18.8%에서 27.8%로 상승했다.
경찰·군인 직무의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실히 적었다. 여성 관리자 비율이 최하인 기관은 해양경찰청으로 3.1%였다. 경찰청 관리직 여성 비율은 6.5%로 올해 목표치(6.6%)에 미달했다. 국방부 군인 간부(8.2%)도 한 자릿수를 기록했다. 경찰과 해경의 전체 여성 비율은 각각 14.2%, 14.5%를 기록했다.
정영애 여가부 장관은 “공공부문 의사결정 직위의 성별균형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며 “앞으로도 공공부문 여성 참여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해가면서 성과가 민간부문으로도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