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 도시안전건설위원회)은 지난 9일 제315회 정례회 행정사무감사 일환으로 지난 8월 8일 집중호우시 침수된 강남역 일대를 방문, 서운로 수로공사 예정지 및 빗물펌프장 운영·관리 실태를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날 김 의원은 현장에서 서운로 저지·고지수로 정비사업 및 사평·반포 빗물펌프장의 추진현황을 보고 받고, ‘서운로 일대 하수암거 신설공사’의 착공 지연사유와 빗물관리시설 운영·관리 실태를 일일이 점검했다.
‘서운로 일대 하수암거 신설공사’는 강남역 일대 종합적인 수해 예방대책 연구를 기초로 하여, 반포천 내 유역경계 조정에 따른 통수능력이 부족한 일부 저지 및 고지수로 하수암거 신설로 침수를 예방하기 위한 사업이었으나, 현장감사 당일 서울시 서초구의 보고에 따르면 ‘서운로 일대 하수암거 신설공사’의 지연사유는 지장물 이설비 과다발생으로 당초 67억 원에서 163억 원 증액되었으며, 공사 구간 내 각종 지장물(상수도, 한전, 통신, 도시가스 등 14개 지장물)이 다수 저촉되어 굴착에 따른 민원발생 등 비굴착 방식으로 사업계획을 변경·추진하는 과정에서 공사가 미착공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서울시가 본 의원의 요청에 의해 수립한 강남역 일대 침수방지 종합대책으로 서운로 일대 하수관거 공사 4개 구간(예산 478억 원)을 계획중에 있는데, 내년도 우기 전에 서운로 2구간(진흥아파트-KCC, 583m)과 논현초, 역삼초, 교대 구간을 우선 조기 완공(시비 193억 원 반영예정)하도록 독려” 했으며, “지장물 발생에 따른 설계변경으로 사업 추진이 늦어졌다는 것은 서울시가 애초 사업을 추진하면서 사전 조사가 미흡했다는 것으로 밖에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이 사업이 원활히 추진되어 완료되었다면 올해 집중호우 시 강남역 일대 피해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추가로 사평·반포 빗물펌프장 현장 점검에서 김 의원은 “빗물펌프장 시설이 건조된 지 20년 이상이 지나 최초 설계된 배수용량 대비 효율이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정밀점검을 통해 빗물펌프 보수나 정비 또는 교체가 적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