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시장 서울링, 랜드마크의 필수 요소인 혁신, 디자인, 기능 미충족
“선(先)디자인 후(後)사업계획 그레이트 한강, 조감도 정치라 지적받는 이유 고민해야”
서울시의회 최재란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은 지난 26일 주택공간위원회 회의에서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의 업무보고를 받은 후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의 핵심사업 중 하나인 서울링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최 의원 서울링은 오 시장의 강력한 의지에만 기반한 채 진행되고 있는 대관람차 조성 사업으로 ‘천년의문(2000년)’ 디자인 저작권 침해 문제, 매립지 위 건설로 인한 안정성 문제, 상암 일대의 접근성 및 인프라 연계성 부족 같은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최초 명칭이었던 ‘서울아이’가 ‘서울링’으로 바뀌더니, 이제는 이름을 쏙 빼고 대관람차 조성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표절 문제를 비껴가려는 것이 아닌가 싶다”며 사업의 정체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해외 사례를 들며 “랜드마크는 혁신적이어야 한다. 1893년 시카고 박람회에 처음 대관람차가 공개되었을 때 세상이 깜짝 놀랐다. 2000년 천년의문 디자인이 공개되었을 때도 마찬가지다”라며 “혁신도 시간이 지나면 평범, 구태가 되어버린다. 고리형 디자인은 중국 랴오닝성 ‘생명의 고리’에서도 적용된 만큼 이미 혁신적이지 않다. 23년이 지나 과거가 된 디자인과 기능을 왜 고집하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랜드마크는 스토리텔링이 중요하다. 서울시민은 물론 한국을 방문하는 세계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이 건축물에 담겨야 한다는 의미다”라며 “더불어 전문가들 사이에서 민간투자 사업자를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만큼, 지금 오 시장에게 필요한 것은 더 늦기 전에 시민들이 대관람차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진지하게 돌아보고 원점에서 재검토할 수 있는 용기”라고 주문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