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최북단 해역에 조성 나서
해양 생물 서식·산란장 등 용도
18억 투입… 축구장 72개 규모
14일 인천시에 따르면 물고기 아파트는 해양생물의 서식·산란장 조성을 목적으로 콘크리트 또는 강재 등으로 만든 인공어초를 말한다. 인공어초가 바닷속에 들어가면 해조류가 부착하게 돼 어류, 패류 등이 서식할 수 있는 거주지로 탈바꿈된다.
시는 올해 시비 18억원을 투입해 옹진군 대청·소청, 덕적·자월 연안 해역 52㏊에 인공어초 648개를 설치한다. 인공어초는 인천시 어초관리위원회가 해역의 수심, 조류 등 해양 환경에 적합한 것으로 4종을 골랐다.
우선 이날 옹진군 대청·소청 해역 16㏊에 너비 13m, 높이 9m 규모의 대형 어초인 강재 고기굴어초 2기를 설치한다. 넓은 공간에서 좁은 공간으로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 특성을 적용한 어초다. 수심이 깊고 빠른 해역에 적합하다. 이어 다음달과 10월에는 덕적·자월 해역 36㏊에 사각형 어초 300개, 터널형 어초 140개, 신요철형 어초 206개를 설치할 예정이다.
올해부터 인공어초 설치 전후로 해양 환경 영향조사도 실시할 계획이다. 대상 해역 현황, 수산 자원량 및 해양 환경 등을 조사해 인공어초 사업이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수산자원조성 효과 등을 정밀하게 확인할 방침이다.
오국현 인천시 수산과장은 “인공어초 시설사업은 해양 생물에 양질의 보금자리를 제공해 수산자원의 생산성을 높이고 어업인 소득 증대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한다”고 말했다. 시는 1973년부터 지난해까지 여의도 면적의 약 42배인 1만 2265㏊ 규모의 어초 어장을 만들었다.
한상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