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개학·개강 맞춰 수요 몰릴듯
현재도 귀한 실물카드, 품귀현상 될라
서울시 “혼란 없도록 충분히 공급”
17일 서울시에 따르면 기후동행카드는 현재까지 누적 36만장이 판매됐다. 모바일카드와 실물카드의 구매 비율은 약 4:6 정도(모바일 15만장, 실물 21만 8000장)로 실물카드 판매율이 더 높다. 실물카드 사용이 높은 이유는 기후동행카드 이용자 연령층이 20~30가 절반 이상(56%) 사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30대 젊은층에서는 상대적으로 안드로이드폰보다 아이폰 사용률이 높은데 기후동행카드는 보안정책상 아이폰에서는 사용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7월 한국갤럽 조사에 따르면 국내 18~29세 소비자 중 65%는 아이폰을 쓰고 있다고 답했다. 애플은 보안정책상 아이폰에서 교통카드 결제에 필요한 NFC(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기후 동행 카드 점검하는 오세훈 시장 기후 동행 카드 점검하는 오세훈 시장 (서울=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오세훈 서울시장이 29일 서울 지하철 시청역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점검하며 지하철 개찰구를 통과하고 있다. 2024.1.29 [공동취재] jjaeck9@yna.co.kr (끝) |
문제는 중고등학생과 주요 대학들이 일제히 개학과 개강을 하게 되면 실물카드의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방학 기간이던 2월까지 기다렸던 중고생들과 대학생들이 3월 개학 및 개강과 함께 수요가 몰릴경우 실물카드 품귀현상도 우려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2월 중 공급량을 충분히 늘려 혼란이 벌어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